안성봉업사지 국가유산 사적 지정 기념 학술대회가 7일 국가유산청과 안성시 공동주최로 중앙도서관에서 열렸다.
죽산면에 위치한 봉업사지는 고려 광종 때 태조왕건 진영 봉안을 위해 세워진 진전사원임이 확인, 옛날 죽주의 영예 재현이 기대된다.
고려사 등 역사 기록을 통해 태조왕건의 어진 즉 왕의 초상화를 봉안한 진전 사찰로 알려진 봉업사는 1966년 봉업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청동황로와 청동복이 오층석탑 주변에서 발견된 이후 1997년부터 2024년까지 6차례의 발굴조사로 진전 영역을 확인하는 등 학술적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 6월에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최종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진전 영역에서는 제작시기(고려 광종대 949~975)가 새겨진 기와들이 많이 출토 되었고, 주변에는 같은 시기 조성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죽산지사지, 장명사지, 매곡리 사지 등 다수의 평지 사찰들이 밀집돼 있고 관아와 사찰이 당시 가장 중심적인 공공 건축물 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고려시대에 안성 봉업사지가 위치한 죽산지역을 지칭하던 명칭인 ‘죽주’의 도시 경관구조와 정치적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이렇게 안성 봉업자시는 발굴조사를 통해 고고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남한의 유일한 고려시대 진전사원으로 대표성, 상징성, 희소성 등을 지니고 있음이 증명됐다.
학술대회는 총 3부로 나뉘었는데 1부에서는 ‘고려 진전사원 봉업사의 불교문화사적 의미’(정제규, 국가유산청), ‘고려 진전사원 안성 봉업사지의 고고학적 성과와 의의’(김종길, 한백문화재연구원), ‘안성 봉업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성격과 의미’(이용진, 동국대학교)의 3개 발표가, 2부에서는 ‘석조미술을 통해 본 안성 봉업사지의 역사적 위상’(정성권, 단국대학교), ‘고려시대 읍치사찰의 전형, 안성 봉업사지’(정요근, 서울대학교), ‘안성 봉업사지 유산가치 탐구와 미래 비전’(서영일, 한백문화재연구원)의 3개 발표가 진행됐다.
끝으로 3부에서는 김길식 용인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곽승훈(강릉 용연사), 최태선(중앙승가대학교), 이영선(한성백제박물관), 이주민(국가유산청), 문경호(공주대학교), 이경미(역사건축기술연구소), 임근혜(안성시청) 등 토론자와 발표자들 간에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는 종합토론이 큰 관심을 끌어냈다.
국가유산청과 안성시는 이번 학술대회를 계기로 더욱 많은 국민이 국가유산의 가치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기를 체계적으로 준비했으며, 앞으로도 ‘안성 봉업사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는 등 적극행정을 이어갈 계획이다.
김보라 시장은 기념사에서 “안성 봉업사지는 고려 태조왕건의 초상을 봉안한 진전 사찰로 1997년 조사 시작 이후 역사적 가치와 중요성이 규명되어 올 6월 7일 국가유산 사적으로 지정했었다”며 그동안 추진 경위를 설명한 뒤 “오늘 사적 지정기념학술대회는 안성 봉업사지의 가치를 지역 주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우리 국가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되기 위한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안다”면서 “죽산지역은 봉업사지 외에도 많은 문화유산이 밀집되어 있어 지역 자랑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지역 주민들이 불편함과 또 피해를 겪게 될 수 있어 주민들의 입장을 고려, 활용 문제에 접근할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