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건강보험공단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급격히 증가하는 보험 사기와 불법 의료 행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강조되는 도구 중 하나는 바로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의 도입이다. 이 기고문에서는 건강보험공단에 특사경 도입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증가하는 보험 사기와 불법 행위에 대한 대응력 향상이다.
현재 건강보험공단은 보험 사기와 불법 의료 행위를 적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기 사건은 점점 더 지능화되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조사하고 단속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수사권이 필요하다. 특사경이 도입되면, 불법 의료 행위 사건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이다.
둘째, 공단의 권한 강화와 행정력 확보다.
건강보험공단은 현재 적발된 사례에 대한 추가적인 법적 조치를 위해 경찰이나 검찰과 협력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협력 과정은 종종 시간이 오래 걸리며(불법개설기관 수사기간 평균 11개월 소요), 그로 인해 불법 의료 행위자들이 법적 처벌을 피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불법개설 기관 대표자 재산 은닉 등으로 부당청구 환수금 징수율 7.93%로 저조). 특사경 도입을 통해 공단 자체적으로 조사와 단속을 진행할 수 있다면, 보다 빠른 법적 조치가 가능해져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건강보험공단 조사 시 사건인지 → 수사 착수 → 관련자 조사 → 사건 송치로 3개월 내 수사 종결 가능).
셋째, 국민의 신뢰 회복이다.
건강보험은 국민의 중요한 사회 안전망 중 하나로, 이를 악용하는 사례가 증가할수록 국민들은 제도에 대한 불신을 느낄 수밖에 없다. 불법 행위에 대한 강력한 대응은 국민들에게 건강보험 제도의 신뢰도를 높이고, 제도를 보다 건전하게 운영할 수 있게 한다. 특사경의 존재는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신속하고 믿을 만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산 절감 효과다.
불법적인 보험 청구와 사기로 인해 막대한 양의 건강보험 재정이 낭비되고 있다(불법개설기관의 부당청구 금액 ’24.10월 기준 약 3조 400억원). 특사경을 통해 이러한 부당한 청구를 조기 발견하고 방지한다면, 공단은 더 많은 예산을 국민들의 의료 혜택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결론적으로, 건강보험공단에 특사경을 도입하는 것은 단순히 사기와 불법 행위를 단속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는 제도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이를 위해 심도 있는 논의와 준비를 통해 특사경 도입을 조속하게 시행할 때이다.
-불법개설기관으로 인한 국민 폐해 사례-
“최고의 도수치료” 편취금액 53억원, 동종 전과 2범 사무장 구속
|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