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 폐열도 돈 되네’

2013.02.05 16:21

도내 지자체 새 수입원 각광

 생활쓰레기 소각장의 혐오시설에서 고유가시대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새로운 수입원이되고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도내에서 운영중인 23개 생활폐기물 소각장에서 118만t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한 폐열을 판매해 294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2011년 249억 원 보다18% 늘어난 45억이다.

 도내 지난해 도내에서 발생한 소각 폐열은 256만Gcal(기가칼로리) 가운데 4.2%인 242만Gcal를 열병합발전소에 255억 원, 한국전력에 38억 원에 판매했다는 것이다. 도는 폐열로 올린 수익은 1억7천만달러의 원유 수입대체 효과와 맞먹는 액수라고 설명했다. 또 이로인해 연간 67만 천289t의 이산화탄소를 줄인 효과를 만들었다.

 소각폐열은 타는폐기물을 소각로에서 태우면서 발생하는 연소열로 증기 또는 온수, 전기 등의 에 지로 회수해 이용한다. 도 관계자는 “소각폐열 판매로 164만 배럴의 원유 수입대체 효과를 봤으며 이에 따라 67만8천289t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감축 했다” 며 “혐오시설로 인식되던 생활쓰레기 소각장이 효자시설로 탈바꿈하고있다” 고 말했다.

관리자 web@mymedia.com
Copyright @2009 minan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사업자번호:경기도 다00040 /경기도 안성시 장기로 82(창전동 123-1)/ Tel:031-674-7712, Fax:031-674-7713 / 대표자 정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