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시술 95%는 불법, 처벌보단 예방이 우선

2015.08.27 16:40

불법 낙태시술을 줄이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안전한 피임’

 낙태에 관한 실태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낙태예방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병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연구보고서에서 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큰 낙태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전적 질환이나 전염병 등 의학적 이유, 강간 등 법적·윤리적 이유에 한해 낙태를 허용하고 있으며, 미혼이나 미성년 임신 등 사회적 이유로는 낙태가 허용되지 않고 있다. 낙태의 법적 허용범위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발생규모, 원인 등 낙태실태 파악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국내 낙태 실태를 파악한 자료는 2005, 2010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실태조사가 전부이다. 2005년 실태조사에 의하면, 1년 간 낙태 건수는 34.2만 건으로 추정, 가임여성 1천 명당 낙태율은 29.8명으로 나타난 바 있다. 지난 10년간 낙태율이 하락했다고 가정하더라고 주요 선진국의 8~16명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현행법상으로 합법적인 낙태시술은 전체의 5%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병호 연구위원은 현행 법제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불법으로 규정된 낙태시술을 줄이는 가장 솔직한 방안은 성관계에 있어 안전한 피임을 실천하는 것이라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지역보건소 및 공공병원의 피임에 관한 공공서비스 강화 피임서비스 담당 조직에 대한 재정적 지원 정기적인 낙태 실태조사 실시 등을 제시했다.

관리자 web@mymedia.com
Copyright @2009 minan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사업자번호:경기도 다00040 /경기도 안성시 장기로 82(창전동 123-1)/ Tel:031-674-7712, Fax:031-674-7713 / 대표자 정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