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인구 1,300만 돌파

국민 4명 중 1명은 경기도민

 20168월말 기준 경기도내 총인구(내국인+외국인)1,300만 명을 넘어섰다. 27일 경기도가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인구와 법무부의 등록외국인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68월말 기준 경기도 인구는 내국인 1,2649,894, 외국인 369,983명으로 총 1,3019,877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8월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5,2792,070명으로 국민 4명 중 1이 경기도에 살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 인구가 1천만 명을 넘은 시점은 200212월말로 20168월까지 138개월 동안 302만 명의 인구가 꾸준히 증가했다. 하루 평균 605명씩 증가한 셈. 200312월말에는 1,0361,638명으로 서울시 인구 1,0276,968명을 처음 추월했다. 서울시의 8월말 현재 인구는 1,0239,672명이다. 서울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한 1967년과 비교하면 1천만 명의 인구가 늘었다. 1967년 말 당시 경기도 인구는 307797명이었다.

 경기도의 인구 증가는 출산 등에 따른 자연적 증가보다는 다른 지역의 인구 이동에 따른 사회적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됐다2003년부터 20166월까지 경기도의 자연적 증가 인구는 948,209이었지만 사회적 증가 인구는 1609,930명으로 661,721명 차이가 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경기도로 순유입(전입-전출)된 인구가 1397,825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6289, 경북 56,780, 대구 52,284순이었다. 반대로 경기도 인구가 가장 많이 순유출(전입-전출)된 지역으로는 충남 54,616, 인천이 21,859, 세종 21,558, 충북 17,538, 제주 14,198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서울시 인구가 대거 이동한 이유로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택가격과 신도시 개발호재, 교통망 확충 등을 꼽았다.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교통 여건이 나쁘지 않으면서도 주거비용이 낮은 경기도로의 이동이 많았다는 분석이다.

 경기도내 사업체 수 증가 현상도 인구 이동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일자리를 찾아 경기도로 이동한 인구가 많았다는 것이다. 도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02735,258개였던 서울시 사업체는 2014년까지 812,798개로 77,540개가 늘었지만 같은 기간 경기도 사업체는 54754개에서 81260개로 269,506개가 증가했다. 도는 기존 증가추세를 감안하면 2015년 말로 경기도에 가장 많은 사업체가 위치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5년 기준 통계는 올해 말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시군별로는 수원시가 1227,704, 고양시 1046,502, 용인시 100945명 순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연천군이 46,958, 가평 63,756, 과천 66,328명 순으로 시·군 간 인구 격차가 컸다.

 인구 증가가 많은 곳은 용인시로 2002년 대비 471,645명이 늘었으며 화성시가 429,318, 남양주시 273,756, 고양시 206,157, 수원시 203,829천명, 파주시 20622명 순으로 28개 시군이 증가했다. 반면, 과천시 4388, 연천군 3697, 구리시 1649명 순으로 3개 시군 인구가 감소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도의회 염종현 의장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이 26일 경기도의회에서 열린 대한민국시도의장협의회 ‘전국 공항소음 대책 특별위원회’ 3차 정기회에 참석해 공항소음 피해지역과 주민들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며, 특위 활동을 격려했다.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산하 ‘전국 공항소음 대책 특별위원회’는 전국 공항소음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을 위해 지난해 6월 구성된 전국 광역의회 단위 위원회로, 이날 도의회를 찾아 3차 정기회를 열고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 건의안 등을 논의했다. 염종현 의장은 이 자리에서 “제가 살고 있는 부천시도 공항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큰 지역이다. 과거에는 극심한 소음 탓에 인근 지역 주민들이 집단으로 이주하는 안타까운 사례를 목도한 바 있다”며 “공항소음과 관련 규제로 인한 피해는 표면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심각하지만 여전히 이에 대한 조사와 데이터는 불충분하고, 현재의 법률과 지원 대책 또한 현실적인 피해를 보상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회는 국회대로, 정부는 정부대로, 또 우리 광역의회는 광역의회대로 각자의 경로에서 최적의 대책을 찾고, 현실에 불부합한 규정들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며 “‘공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