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군인에게 희망과 성공적인 일자리 제공

제대군인에게 희망과 성공적인 일자리 제공

 

수원보훈지청 복지과 기태형 실무관

 

 우리나라의 역사를 보면 수많은 외세침략과 분단의 아픔역사를 가지고 있다. 많은 외세의 침략 속에서 국방의 중요성을 그 무엇보다 중요시 해 왔다. 국민의 의무중 하나인 국방의 의무가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그 군인들이 신성한 의무를 마치고 사회로 복귀할 때, 사회는 그들에게 너무나 차갑고 높은 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누가 나라를 위해 자신의 젊음을 바치는 자가 얼마나 되겠는가하는 생각이 든다.

 중장기복무 제대군인들 매년 6천여 명씩 사회로 나오는데, 그들의 평균연령을 보면, 44.6세로 자녀교육과 가족의 생계를 위해 한창 바쁘게 일할 나이이다. 하지만 재취업을 하기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취업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5년간(07~11) 전역한 중장기 제대군인의 취업현황을 보면 60퍼센트 이하이다. 10명중 4명을 제대를 하면 실업자가 된다는 말이다. 일반남자의 평균 취업률 보다 10여 퍼센트나 낮은 수치이다. 그들이 나라를 위해 헌신한 값에 비하면 많은 홀대를 받고 있다. 사회가 그들에게 보담을 하지 못하는 것이 많이 안타깝다 생각이 든다.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제대군인 취업률이 90퍼센트를 넘는 나라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를 비추어보면 전역 후 자신이 원하는 곳에 재취업이 된다면, 군복무기간동안 재취업 걱정 없이 국토방위에 더 노력을 할 것이고, 나아가 우리 국민들은 그들을 믿고 마음 놓고 생활을 할 수 있어 국가발전에도 이바지 할 것이다.

 국가보훈처에서는 제대군인들의 사회에 진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전국 6개의 제대군인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이 그동안의 경력을 활용하고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업을 소개하고, 취업상담, 취업 및 창업정보 제공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짧은 기간에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군에게 익힌 경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일자리를 지원 받고 있으며, 공공기관 뿐만 아닌 민간 기업에서도 군 경력을 연계한 다양한 일자리 확보하는데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지원만으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성공적인 사회진출이 가능하지는 않다. 국민의 이해와 관심이 함께 되어야 성공적인 사회진출을 이룰 수가 있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기업체에 재직하고 있는 제대군인의 실태조사가 나왔다.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을 채용한 이유를 묻었는데, 그들을 채용한 이유가 군복무과정에서 체득한 근면성실, 탁월한 리더십, 그 누구에게도 뒤쳐지지 않는 열정과 추진력, 그리고 자신에 일에 대한 책임감등을 채용 이유로 꼽았다. 이것이 요즘 기업에게 요구하는 인재상이기에 많은 제대군인들이 성공적인 취업 할 수 밑거름이 된 것이다. 더 많은 제대군인들이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역량을 발휘 하였으면 한다.

 제대군인은 단순히 군인이 아닌 우리사회가 안정과 발전하는데 이바지한 숨은 공로자이다. 우리 국민들이 그들에게 감사과 사회 인식이 필요하며, 나라를 위한 헌신한 제대군인을 국가와 사회가 끝까지 책임진다면, 우리 사회는 더 건강한 사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더보기
도의회 염종현 의장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이 26일 경기도의회에서 열린 대한민국시도의장협의회 ‘전국 공항소음 대책 특별위원회’ 3차 정기회에 참석해 공항소음 피해지역과 주민들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며, 특위 활동을 격려했다.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산하 ‘전국 공항소음 대책 특별위원회’는 전국 공항소음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을 위해 지난해 6월 구성된 전국 광역의회 단위 위원회로, 이날 도의회를 찾아 3차 정기회를 열고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 건의안 등을 논의했다. 염종현 의장은 이 자리에서 “제가 살고 있는 부천시도 공항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큰 지역이다. 과거에는 극심한 소음 탓에 인근 지역 주민들이 집단으로 이주하는 안타까운 사례를 목도한 바 있다”며 “공항소음과 관련 규제로 인한 피해는 표면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심각하지만 여전히 이에 대한 조사와 데이터는 불충분하고, 현재의 법률과 지원 대책 또한 현실적인 피해를 보상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회는 국회대로, 정부는 정부대로, 또 우리 광역의회는 광역의회대로 각자의 경로에서 최적의 대책을 찾고, 현실에 불부합한 규정들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며 “‘공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