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농업기술센터 서운면서 농촌 일손 돕기 활동

휴일반납 포도밭에서 화수정리 작업위해 구슬땀

 안성시농업기술센터 이경애 소장을 비롯한 공직자 40여명은 지난 20일 바쁜 영농철을 맞아 수작업으로만 가능한 포도 화수정리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운면 산평리 소재 신용섭 농가 포도밭(9,900)을 찾아 농촌 일손 돕기를 위해 구슬땀을 흘렸다.

 화수정리작업(송이에 꽃을 4cm만 남기고 모두 제거하는 일)은 양분경합으로 인해 꽃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포도 1송이를 500g으로 맞추어 송이의 모양이 예쁘고 균일하게 나오게 하는 고품질 수출포도 생산을 위한 매우 중요한 작업단계로서, 화수정리작업이 끝난 포도송이는 이후 식물호르몬제인 지베렐린(GA) 1, 2차 처리로 착과율을 높이고 먹기 좋은 씨 없는 포도를 만들어 8월 중순경부터 수확하게 되며, 소비자 기호에 맞춘 2kg/1box(500g×4송이) 소포장으로 가격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이경애 소장은 휴일이지만 봉사활동에 참여해 준 직원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했으며 지역 주민을 위해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고 돌아올 수 있어서 뿌듯하다고 말했다.

 안성시농업기술센터는 앞으로도 시민들과 공무원 자원봉사 활동을 연계함으로써 실질적 도움이 되는 참된 봉사활동을 추진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