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미질 최고 ‘참드림 쌀’ 인정

경기도농업기술원 ‘품평회’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김석철)이 지난 29일 농업과학교육관에서 ‘제2회 참드림 쌀 품평회’를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품평회는 16개 시‧군에서 50명의 농업인이 출품한 ‘참드림’ 벼에 대해 1차 재배 이력과 2차 단백질 함량 등 품질분석, 마지막으로 식미평가 등 총 3단계에 걸쳐 엄격한 심사를 진행했다.

특히, 도농기원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협중앙회 경기지역본부, 소비자시민모임 등 외부전문가 18명으로 심사위원을 구성해 공정한 심사가 이뤄지도록 했다.

 도농기원은 경기미의 약 50%를 차지하는 추청(아끼바레)벼를 대체하고자 지난 2014년 조정도(토종벼)의 혈통을 가진 중만생종 ‘참드림’ 품종을 개발했다. 이후 확대 보급을 위해 지난 4월 관계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 종자생산‧공급, 유통‧마케팅, 품종특성에 맞는 재배기술 보급 등의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김현기 도농기원 기술보급과장은 “경기미의 절반을 차지하는 추청(아끼바레) 벼는 1950년대 일본에서 개발된 품종으로 병해충 저항성이 약하고 밥맛이 떨어진다”라며 “반면, ‘참드림’은 그 반대의 특질을 지녔고 상온저장성이 좋아 다음해 7~8월에도 밥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장점이 있어 앞으로 확대 재배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