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은 수도권의 변방이 아니다. 그러나 정부 정책에서 안성은 오랫동안 변방 취급을 받아왔다. 기반시설은 부족했고, 규제는 중첩되었으며, 국가 SOC 사업에서도 늘 우선순위에서 밀려났다. 수도권의 이익은 누리지 못하면서 규제만 떠안아 온 대표적인 ‘불균형 희생 도시’, 그 도시가 바로 안성이다.
그러나 상황은 달라졌다. 이제는 정부도 더 이상 안성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서울–세종 고속도로 완전 개통 시 양 도시의 이동시간은 기존 108분에서 약 70분대로 단축될 전망으로 이 거대한 변화의 중심에 바로 안성이 있었고, 안성은 서울과 세종의 정확한 중간 도시로서 두 도시와 약 40~50분대 접근이 가능한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편리함을 넘어 국가 교통축이 안성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신호로서 안성은 더 이상 낙후 지역이 아니라 국가전략도시다. 본인은 분명하게 말한다. 안성 신도시 건설은 선택이 아니라 국가의 책임을 밝힌다.
서울–세종 70분대 시대를 견인할 수도권 남부–충청권 광역경제 중심축은 안성에서 완성된다. 이미 안성에는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현대차 배터리 연구·생산기지 등 국가 기간산업이 자리잡을 예정이며, 규제 완화 흐름과 수도권 인구 이동이 더해지면서 신도시 조성의 조건은 완전히 갖춰져 있는 이 도시를 외면한다면 그것이야말로 국가 균형발전 포기다.
또한 신도시가 조성되면 철도 예타는 자동으로 통과될 것은 명확하고 신도시는 새로운 인구 유입, 산업·물류 증가, 서울·세종 광역통근 확대 등 예타 수치를 근본적으로 바꾼다. 동탄·광교·세종이 모두 ‘신도시→철도’ 순으로 발전했듯, 안성도 똑같은 흐름을 밟게 된다. 수요가 도시를 만들지 않고, 도시가 수요를 만드는 것이다. 정부는 이제 더 이상 ‘예타’를 핑계로 안성 철도를 미루어서는 안 된다.
유천취수장 해제 문제도 신도시·첨단산업과 환경이 양립 가능함을 보여주는 핵심 사례로 일부 우려와 달리 취수장 해제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류지역의 규제 부담을 해소하고 첨단산업 기준에 맞는 최신 환경처리시설을 도입할 수 있는 기회다. 안성시는 해제 면적에 대한 평택시와의 상쇄 조치, 공동 환경대책 마련도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 따라서 유천취수장 해제는 갈등이 아니라 상생 기반의 환경·산업 조화 모델이 될 수 있다.
안성은 준비됐고, 시민도 준비됐다. 산업도 들어오고 있고, 교통축도 열렸고, 이제 남은 것은 단 하나,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 본인은 시민들과 함께, 안성의 도약을 반드시 관철시키겠다”고 굳게 다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