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현안 해결 의지 담아 ‘험지’ 의원실 배정 자청한 당선인 화제

윤종군 당선자, ‘안성역’ 유치 염원 담아 1011호 요청해 배정받아

 5월 30일, 제22대 국회 등원일을 앞두고 국회에서는 의원실 배정이 한창이다. 의원실은 국회의원 당선자들에겐 4년 동안 살아갈 ‘보금자리’다. 그만큼 좋은 ‘방’을 배정받기 위한 물밑 경쟁이 뜨겁다.

 물밑 경쟁이 뜨거운 만큼 ‘선수’가 높은 의원부터 좋은 방을 배정해 주는 것이 관행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그래서 ‘선수’라는 ‘빽’이 없는 초선 의원들은 이른바 ‘험지(?)’로 내몰리기 일쑤다. 대표적인 ‘험지’는 10층. 이른바 ‘본청’이라 불리는 국회의사당에서도 멀고, 엘리베이터 사용 등 많은 불편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나마 한강이나 여의도가 훤히 내다보이는 바깥쪽 방은 사정이 좀 낫다. 그래서 10층 안쪽에 자리 잡은 방은 의원실 가운데 ‘험지 중에서도 험지’로 ‘최악의 험지’인 10층 안쪽 의원실을 일부러 자청해 배정받은 당선자가 있어 화제다. 경기도 안성의 윤종군 당선자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안성은 경기도 31개 시·군 중 유일하게 전철역과 기차역이 없다. 윤 당선자는 전철역과 기차역을 유치해 달라는 안성시민의 염원을 반드시 임기 내에 실현하기 위한 의지를 드러내기 위해 안락한 ‘보금자리’를 위한 ‘로비’ 대신 일부터 의원회관 10층 안쪽 방인 1011호를 ‘자청’했다. 원래 1101호를 원했으나 11층이 없어 1101을 거꾸로 한 1011을 의원실 호수로 배정해 달라고 요청한 것.

 사연인 즉 이렇다. 1925년 11월 1일은 일제강점기에 안성역이 개통한 날이다. 그런데 안성을 통과하던 기차는 폐선된 지 오래고, 안성역도 1989년에 문을 닫았다. 수도권 접근성이 최악일 것은 불문가지 안성 시민들이 다시 안성에 전철역과 기차역을 끌어와 명실상부한 ‘수도권 안성시대’를 개막해 줄 것을 기대하고 윤 당선인을 선출한 핵심 배경이다. 윤 당선인이 ‘편리함’과 ‘쾌적함’ 대신 ‘지역 현안 해결 의지’를 의원실 ‘호수’에 담고 ‘최악의 험지’를 보금자리로 택한 이유도 이런 맥락이다.

 이쯤 되면 윤 당선인의 의원실 배정에 얽힌 사연은 ‘사모곡(思母曲)’에 비견될 만하다. ‘사모곡’이 아닌 ‘사향곡(思鄕曲)’ 쯤은 되는 것이다. 4년 동안 있을 여러 가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일부러 ‘최악의 험지’를 ‘자청’한 윤 당선인의 결연한 의지가 어떤 결실을 맺을지 자못 흥미롭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안성종합사회복지관, ‘안테나 4기’ 발대식
안성종합사회복지관(관장 박희열)이 지난 3일, 대학생 공익활동 연합동아리 ‘안테나 4기’의 발대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활동의 시작을 알렸다. ‘안테나’는 ‘안성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함께하는 나와 너’의 줄임말로, 안성 지역 대학생들이 공익활동을 기획하고 실천하는 대학생 연합동아리이다. 2022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 4기를 맞이한 ‘안테나’는 매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올해 선발된 ‘안테나 4기’는 총 24명의 대학생으로 구성, △인식개선 캠페인 동아리 ‘안성, 안녕지킴이’ △팝업놀이터 동아리 ‘노는게 제일 조아’ △찾아가는 복지 인형극 동아리 ‘레디 액션’ 등 3개 팀으로 나뉘어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들은 주도적인 공익활동 실천을 목표로 지역 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열정으로 뭉쳤다. 발대식에 참여한 ‘안테나 4기’의 이채원 학생은 “안테나 활동을 통해 보람과 행복이 가득한 한 해를 보내고 싶다”며 포부를 밝혔다. 박희열 관장은 “공익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뜨거운 열정이 매우 인상 깊다’며 ‘안테나 활동이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해 나가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