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양봉농가 1,400여 곳에 꿀벌질병 방제약품 사전 공급

낭충봉아부패병 등 12종 꿀벌질병 집중관리 실시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는 꿀벌이 활동을 시작하는 봄철을 맞아 도내 토종벌·양봉농가 1,400여 곳에 꿀벌질병 방제약품 6종 총 33,770(예산 212백만 원)를 공급하는 등 본격적인 개화시기를 앞두고 사전 방제에 나섰다고 6일 밝혔다.

 연구소에 따르면 꿀벌질병은 주로 이른 봄철에 유행하며, 이 시기 주요 질병으로는 꿀벌응애, 노제마병, 낭충봉아부패병, 부저병 등이 있다이중 꿀벌응애는 기생충의 일종으로 벌의 발육을 방해하거나 불구가 되게 하고, 노제마병은 원생동물인 노제마 아피스(Nosema apis)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여왕벌의 산란을 방해하는 등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낭충봉아부패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유충이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말라 죽게 되는 등 치사율이 매우 높은 질병이며, 부저병은 유충이 발육중 썩게되는 질병으로,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돼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낭충봉아부패병 10, 부저병 6, 날개불구병 3, 여왕벌흑색병바이러스증 2, 노제마병 1건 등 다양한 꿀벌질병이 도내 양봉농가에서 발생했으며, 이중 낭충봉아부패병의 경우 토종벌 농가에서 예년보다 2배 이상 발생해 많은 피해를 남겨 주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연구소는 방제약품 공급 외에도, 육안으로는 감별이 쉽지 않은 낭충봉아부패병 등 12종의 꿀벌질병에 대해 정밀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임병규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장은 양봉농가에서는 약물 오남용을 막고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반드시 연구소로 정밀검사를 의뢰할 수 있도록 해달라.”면서, “만약 낭충봉아부패병이 발생할 경우, 발병즉시 벌통주변과 봉기구 등 봉장 소독을 실시하고, 발생봉군 즉시 격리 및 소각 등 방역관리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자주 발생하는 꿀벌질병 : 낭충봉아부패병, 부저병, 노제마병, 백묵병, 석고병,

꿀벌마비병, 날개불구병, Black queen cell virus, Kashmir bee virus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