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지하철 역사 라돈 농도, 모두 기준치 이하

19.0 베크렐로 다중이용시설 권고기준 농도보다 낮아

 경기도내 지하철 역사 실내 공기에 포함된 라돈 농도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3월부터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9개 역사를 대상으로 방사능물질인 라돈 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19.0 베크렐로 모두 권고기준 농도 이하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

 라돈의 다중이용시설 권고기준 농도는 148베크렐 이다라돈은 주로 암석이나 토양에 존재하며, 저층건물 바닥이나 갈라진 벽의 틈새를 통해 인체에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입된 라돈이 폐 조직을 파괴해 흡연 다음으로 폐암 발병의 주요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014년부터 도내 보육시설과 지하철 역사를 중심으로 라돈 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4년에는 지하철 역사 3(평균 27.5베크렐)과 보육시설 10(평균 23.6베크렐), 2015년에는 보육시설 10(평균 27.0베크렐)을 대상으로 라돈 오염 실태조사를 실시했으며 모두 권고기준 농도 이하로 나타났연구원은 올해 12월까지 추가로 7개 지하철역사에 대한 라돈 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라돈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강재를 이용해 갈라진 건물벽 틈새를 막는 등 적극적인 실내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며 환기를 통해서도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만큼 환기를 자주 해주는 것이 좋다.”라고 당부했다.

 


지역

더보기
최호섭 시의회 운영위원장, 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 개최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이 지난 16일 금광면 하늘전망대 주차장에서 제24번째 ‘찾아가는 민원 신문고’를 개최했다. 이번 민원 신문고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하늘전망대의 실태를 점검하고, 방문객들의 불편 사항을 직접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갑작스러운 추위와 눈이 내리는 궂은 날씨 속에서도 500여 명의 방문객이 하늘전망대를 찾았다. 평소 주말이면 2,000여 명이 찾는 인기 관광지지만, 기상 악화로 인해 방문객 수가 줄어든 상황이었다. 행사에는 최호섭 운영위원장과 함께 안정열 안성시의회 의장, 정천식 부의장도 참석해 방문객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성남시에서 방문한 한 관광객은 “장애인 주차장에 쌓인 눈이 방치되어 얼음덩이로 변한 모습을 보고 크게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하늘전망대 안내소 직원들의 불친절한 응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방문객들은 안내소에서 불편 사항을 호소하면 시청에 직접 연락하라는 답변을 받았고, 한 방문객이 화장실에 따뜻한 물이 나오지 않는 이유를 묻자, 직원이 “국립공원 화장실에는 법적으로 따뜻한 물이 나오면 안 된다”고 답해 방문객을 당황케 했고, 또다른 방문객들은 안내소에 실제 정수기가 있지만 컵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