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울트라 트레일러닝 대회 참가자 접수 시작

세계 각국 트레일러닝 마니아 대상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트레일러닝 대회가 경기도 최북단 트래킹 코스인 평화누리길에서 열린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와 김포시, 파주시 연천군이 공동 주최하고 경기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16 DMZ 울트라 트레일러닝대회가 오는 25일공식 홈페이지를 오픈, 참가자 접수를 시작한다.

 오는 91일부터 94일까지 개최하는 ‘DMZ 울트라 트레일러닝대회는 대회 전날 외국인 선수 및 전문선수 대상 파주 캠프 그리브스 입소를 시작으로 1일차에는 김포시, 2일차에는 연천군, 3일차에는 파주시 DMZ 일원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대회코스는 김포시의 경우 대명항 김포 C.C 문수산성 입구 기봉까지 37이며, 연천군은 연천 공설운동장 성산 지장봉 고대산 꽃봉산 공설운동장으로 돌아오는 50, 파주시는 임진각 통일대교에코뮤지엄 60T 64T 에코뮤지엄 임진각으로 돌아오는 13코스로 구성돼 있다.

 경기방식은 선수용 프로그램과 일반인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우선, 국인 선수 및 전문 선수들은 민통선 내에 위치한 캠프 그리브스에서 숙식하며 2일차부터 4일차까지 23일간 총 100를 달리게 된다. 일반 참가자들은 연천군 코스 50또는 파주시 코스 13를 달릴 수 있다. 참가비는 100코스는 30만원, 50코스는 5만원, 13코스는 3만원이다.

 이외에도 대회 전날 파주 캠프 그리브스에서 나라사랑 콘서트 축하공연이 행되며, 대회 중에는 해병 2사단과 보병 5사단의 군악대 공연 등의 부대행사가 마련돼 있다. , 대회 종료 후에는 외국인 선수들을 대상으로 DMZ 일원 팸투어를 실시하는 등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했다.

 한편, 트레일 러닝(Trail Running)이란 트레일(Trail)과 러닝(Running)의 합성어로 포장되지 않은 길이나, , , 초원지대 등을 자연과 호흡하며 달리는 아웃도어 스포츠다. 최근에는 프랑스 울트라 트레일 두 몽블랑(Ultra-Trail du Mont-Blanc), 홍콩의 100km 울트라 트레일, 스페인의 트랜스 그란 카나리아(TRANS GRAN CANARIA) 등 각종 국제대회가 열리면서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한국은 이제 막 걸음마 단계이지만,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인 특성상 앞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레포츠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 제주도에서 열린 국제 트레일러닝 대회에는 20여 개국에서 1,200여 명이 참가해 성황을 이루는 등 해외 트레일러닝 마니아들의 이목이 한국으로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경기도는 세계 각국의 마니아를 대상으로, 평소 일반인들의 출입이 금지돼 잘 보존된 DMZ를 활용, DMZ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홍보하고 한반도 화의 상징인 DMZ를 전 세계에 알리는 기회의 장으로 삼고자 ‘DMZ 트레일 러닝대회라는 관광 상품을 개발하게 됐다.

 윤병집 균형발전기획실장은 “DMZ 국제 트레일러닝 대회가 활성화되면, 외국인 관광객 유치로 이어져 접경지역 체류형 관광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경기 관광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경기도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DMZ 일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https//www.dmzultratrail.com)를 참고하거나 사무국(02-449-7352)으로 문의가 가능하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