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매초등학교 역사탐구반, 잊혀진 독립만세운동의 기억을 추적하다

‘원곡․양성 4․1독립만세운동’ 프로젝트 실시

 현매초등학교(교장 구영애) 역사탐구반 학생들은 원곡양성 41독립만세운동을 주제로 두 달간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하고 지난 18)에 교내에서 전시회를 열었다.

 원곡양성의 독립만세운동은 191941일 저녁부터 42일 새벽까지 원곡양성면 2000여명의 농민들이 마을을 활보하며 양성경찰주재소, 양성우편소, 양성면, 원곡면사무소, 일본인이었던 외리여수와 융수지의 집 등을 파괴하는 등 독립의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었던 사건을 말한다.

 이는 당시 재판관이 3대 실력항쟁지로 언급을 할 정도로 강력했던 만세운동이었다. 현재 안성에는 원곡양성의 만세운동을 ‘2일간의 해방으로 부르고 이를 기념하는 안성31운동기념관이 만세고개에 세워져 있다.

 그런데 당시 농민들이 만세운동을 벌였던 장소에 대한 흔적이 현재 거의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현매초등학교 역사탐구반 학생들은 원곡양성의 41독립만세운동의 잊혀진 기억들을 추적하고 답사하면서 이를 알리기 위한 그림 지도를 제작하였다.

 학생들은 남아있는 사료들의 분석, 옛 지도와 현재의 지도 비교분석 및 답사, 독립운동 후손과의 만남, 마을 주민들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만세운동의 흔적들을 찾아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만세운동의 흐름도와 그림 지도를 제작하였다. 그림 지도에는 학생들이 직접 찍은 만세운동의 장소, 장소에 대한 설명, 독립운동 캐릭터, 제목 등을 삽입했다.

 프로젝트를 지도했던 허영훈 교사는 안성 31운동기념관에 전시된 일제가 그린 만세운동 지도(현장검증도)를 보고 이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되었다. 학생들이 직접 만세운동의 흔적을 추적하고 지도를 제작하면서 우리 고장의 잊혀진 만세운동의 영웅들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학생들이 주도하는 원곡양성의 독립만세운동 알리기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다. 그리고 추후, 원곡양성면 일대가 독립운동 테마 마을로 조성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