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살 이상 5년 새 2배로 껑충

안성시 100세 이상 14명

 우리나라에서 100살을 넘긴 고령자는 1836명으로 5년 동안 갑절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발표한 100살 이상 고령자 조사결과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100살 이상 인구는 모두 1836으로 5년 전인 2005961명의 두 배며 20년 전인 1990(459)에 비교해 네 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여성이 1580명으로 전체의 86%를 차지했다.

100살 이상 장수노인이 많은 지역은 제주시가 58명으로 가장 많고 고양시(38), 전북 전주시(37), 용인시(29), 의정부시(2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인구 10만 명당 100살 이상 인구로는 전북 장수군이 36명으로 가장 많았다.

안성시의 경우 보개면 1, 금광면 2, 양성면 1, 원곡면 2, 일죽면 1, 고삼면 1, 안성13, 21, 32명 등 모두 14명이다.

 성별로는 남 4, 10명으로 여자가 6명이 더 많다.

연령별로는 1005(2, 3), 1012(1, 1), 1025(1, 4), 1032(2)으로 집계됐다.

 이들 고령자의 장수비결은 식생활 습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절제된 식습관 54.4% 낙천적인 성격(31.0%), 규칙적인 생활(30.9%), 유전(16.8%)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