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드는∼ 경기도내 논밭 면적

도시개발 공단조성 등으로 20년새 28% 감소

 경기도내 농경지 면적이 대단위 주택, 또는 산업단지 조성 등 개발로 인해 20년 전에 비해 30% 가량 크게 줄어 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인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최근 20년간 경기지역 경지 및 작물 재배 면적의 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 총 경지면적은 181676ha20년 전인 1990(254455ha)보다 72779ha(28.6%)감소했다.

 경지별로는 논 면적이 1717ha에서 101896ha6812ha(40.1%)감소했고 밭 면적의 경우 84438ha에서 79780ha4658ha(5.5%)가 줄었다.

 또한 같은 기간 식량작물 재배면적은 192462ha에서 109421ha43.1%나 감소했고 이중 벼 재배 면적은 17594ha에서 95970ha로 절반 가까이 크게 감소했다.

 시·군별로 논과 밭면적이 가장 많은 지역은 화성시(23173ha)이고 평택시(21ha), 이천시(17233ha)순으로 집계됐다.

 경지면적이 제일 작은 지역은 안양시(80ha)로 경기도 전체 경지면적의 0.04% 수준에 불과했다.

경지면적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화성시로 20년 전 보다 25%(6974ha)가량 줄었고 성남시의 경우 1952ha에서 571ha1381ha 감소, 70.9%의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이처럼 경지면적의 크게 감소한 이유로는 일산·판교·분당·동탄 등 대단위 신도시 주택단지 조성과 안성 산업단지 평택지역 산업단지, 조성이 계속돼 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경인지방통계청 관계자는 농가고령화, 전업 등으로 농가수는 꾸준히 감소하는 동시에 대규모 주택단지 건설 등의 영향으로 경지 감소율이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