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삼하게 먹고 생생해지자… 나트륨 저감 사업 추진

초등학교, 병원 등 단체급식소 대상 나트륨 섭취 줄이기 실천사업

 경기도가 초등학교, 병원, 기업체 등 집단급식소를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 줄이기 실천 사업인 삼삼한 식사로 생생한 내 몸 만들기 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혈압, 당뇨,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등 4대 만성질환의 원인 중 하나인 나트륨 과다 섭취를 낮추기 위한 실천 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경기도식품진흥기금을 활용해 대한영양사협회 경기도영양사회가 주관한다.

 사업은 단체급식소 현장교육 및 염도계 올바른 사용법 지도, 초등학교 나트륨줄이기 인형극 활용 영양교육, 저나트륨 급식·영양주간 운영 영양의 날(1014) 주간 거리 캠페인 등이 추진된다.

 우선 단체급식소 3개소를 대상으로 나트륨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교육자료와 질환별 식단 및 음식 실물·모형 등을 전시한다. 또한 염도계 사용법을 지도하여 국물류의 염도 측정에만 국한하지 않고 반찬과 같은 고형음식에도 사용하도록 안내한다. 도내 10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는 싱겁게 먹는 식습관을 주제로 한 인형극을 통해 초등학생에게 영양교육을 할 예정이다.

 오는 10월에는 단체급식소 1,000여 곳에 나트륨 저감화 매뉴얼과 포스터를 배포하고, 1014일 영양의 날과 연계한 영양 주간을 운영토록 계도할 계획이다영양주간에는 급식소별로 저염주간을 지정하여 저염조리와 저염메뉴를 제공하고 각종 교육자료를 전시하게 된다. 이와 함께 나트륨 저감화 등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영양사회와 연계하여 영양의 날 거리캠페인을 전개한다.

 도 관계자는 평균수명이 증가하는 만큼 성인병도 늘고 있는데, 특히 잘못된 식습관이 성인병을 초래한다.”무엇보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올바른 식습관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식약처) 오는 2020년까지 4,878mg(2010년 기준)인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3,500mg 수준으로 10% 이상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트륨저감화 정책의 사회경제적 효과 평가 보고서(2015.11식약처)에 따르면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3000mg으로 낮추면 연간 13조원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절감된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