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과화(해당화)

안정웅

안성시 약초연구회 (105)

     매과화(해당화)      

세계평화봉사단

안성시지회장 안정웅      

 여름에 곱게 피는 해당화는 바닷가의 정취를 한결 높여준다. 향기가 강해서 차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정서불안, 두통에 차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뿌리가 당뇨에 좋다고 해서 한 때 해변에 있는 매과화가 수난을 당했는데 확실한 의학적 근거가 없고, 또 당뇨 약은 지금 양약으로 좋은 약이 있어 채취하는 것은 금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해울, 조경 작용을 하므로 신경과민으로 인한 흉격 부위의 갑갑증, 협늑, 동통, 유방염, 월경불순, 이질, 설사, 대하, 타박상, 종기 등에 유효하다.

 신경과민으로 인한 간 기능이 감퇴되어 생긴 흉협부 동통, 유방염, 간염 등에 유효하다. 포공영 15g, 화고초 15g, 매과화 10g, 귤엽 9g, 천련자 8g, 왕불류행 8g 사용한다.

 매과화는 어혈을 제거하고 월경을 정상으로 유도한다. 혈액순환 촉진과 어혈을 풀어주는데는 당귀 15g, 향부자 15g, 익모초 15g, 매과화 10g, 천궁 8g, 작약 8g 사용한다.

 간 기능 장애와 위염으로 인한 복통, 트림, 식욕부진에는 매과화 10g, 불수감 10g, 작약 8g, 창출 8g, 목양 8g, 감초 2g 사용하면 담즙분비가 촉진되며, 항암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타박상으로 인한 동통, 굴신불리에는 단방으로 매과화를 가루를 내어 술에 타서 복용하거나 당귀 12g, 매과화 10g, 도인 6g, 홍화 6g, 유향 4g, 몰약 4g 사용하면 어혈을 풀어준다.

 피부, 소염, 살균 작용을 하는데 매과화 10g, 포공영 10g, 자화지정 10g을 진탕하여 공복에 복용하면 항균작용을 하여 피부병에 유효하다. 보통 1회 사용량은 3~10g사용하며, 장기 사용을 금한다 .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고사 직전 지역언론,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으로 활성화 모색한다
지방자치와 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언론(지방일간지,지역주간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회 차원의 대책마련이 추진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학영 국회부의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임오경 민주당 간사를 비롯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윤덕, 박수현, 양문석, 이기헌, 조계원 등 국회의원 8명이 한국지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오는 9월 25일 오전11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역주간신문 165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역신문협회(회장 권영석, 봉화신문 대표)와 시도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방일간신문 9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회장 이동관, 대구매일신문 대표)는 ‘국민이 직접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사에 지원금을 주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저널리즘을 견인하고 언론사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 투명하고 공정한 미디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를 임오경 등 8명의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박수현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며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지역언론에 대한 이해가 깊은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