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회관 찾아 농촌노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 펼쳐

‘농촌노인 사회활동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

 안성시농업기술센터(소장 이경애)가 노년기 역할상실에서 오는 농촌노인의 사회심리적인 문제 해소를 위한 사회적 역할과 사회활동 창출 및 농촌노인의 사회적 역량강화를 위해 65세 이상 비율이 20% 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농촌노인 사회활동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에는 고삼면 가유리 마을과 보개면 북가현리 하가마을 두 곳이 선정되어 미술치료교실, 목공예 교실, 기체조, 건강장수식단 보급, 생활원예교실 등 마을 어르신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과 지속적인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이번 교육 프로그램 중 목공예 교실 강사로 초빙되어 온 청개구리&머깨비 김기찬 대표는 어르신 눈높이에 맞는 우편함 만들기, 액자 만들기 수업을 진행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을 뿐 아니라 교육이 끝난 후 수리가 필요한 마을회관이나 어르신들 댁을 방문하여 허술한 실리콘마감 보완, 느슨해진 나사 조이기 등 젊은이들이 손길이 필요한 곳곳에 도움을 주어 어르신들의 칭송을 받았다.

 이번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배수옥 팀장은 이러한 교육 사업을 통해 어르신들이 정서적 안정감을 갖고 건강한 노년기를 보냄으로써 활기찬 삶을 영위하고 젊은 사람들과 마을 어르신들이 소통되는 시간이 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