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경제침략 비상대책단

도의회, 2차회의 개최

의회 차원의 일본경제침략 대응책을 구체적이고 면밀하게 수립할 것

  경기도의회 일본경제침략 비상대책단(단장 조광주 경제노동위원장)은 9일 특별위원회 회의실에서 2차 회의를 개최하고 일본 경제침략에 따른 경기도의회 차원의 대응 방안들을 모색했다.

  이날 2차 회의는 일본의 수출통제 제도 및 대일의존도 주요품목 관련 전문가들의 보고를 통해 위원들의 일본경제침략 현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체계적이고 면밀한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업무보고는 전략물자관리원, 경기연구원, 경기도, 도교육청의 전문가 및 담당공무원 등이 참석하여 △일본 수출규제 통제제도 △일본 수출규제 품목 분석 결과 △도내 일본식 잔재 및 일본산 제품 사용현황 △도내 일본산 농축수산물 유통현황 및 일본 수입물품 방사능 검사 강화 방안 등에 대해 설명하고 위원들의 질의가 이어졌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일본산 농축수산물 유통현황 및 잔류 방사능 검사 강화방안에 대해서도 위원들의 관심이 높았다.

  회의를 주재한 조광주 단장은 “일본경제침략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일본수출 규제의 구체적인 내용 및 관련된 도내 현황에 대한 이해도가 선행되어야 한다”면서 “이후 현장 방문 등을 통해 실상들을 파악한 후 의회차원의 대응책들을 구체적이고 면밀하게 수립하게 될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경기도의회는 이번 338회 임시회 기간 동안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위한 부품 국산화 지원사업’ 23억원, ‘소재 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사업’ 100억원 등 일본 경제보복 대응 관련 7개 사업에 321억원의 예산을 10일 본회의에서 최종 심의·의결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