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영상 활용 농업가뭄 해결한다!

농어촌공사·한경대학교 업무협약 체결, 8일 간격 농업가뭄지도 제작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식)와 국립한경대학교(총장 임태희)가 지난 30일 미국 국립가뭄경감센터(NDMC, 소장 Mark Svoboda)·위성영상기술센 터(CALMIT, 소장 Brain Wardlow)와 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한 농업가뭄 모니터링 및 가뭄 조기경보시스템 선진기술 발전 등 공동 학술․기술 교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최강원 실장과 강문성 부장, 한경대학교 남원호 교수, 미국국립가뭄경감센터 마크 소보다(Mark Svoboda)소장, 위성영상기술센터 브라이언 왈로우(Brain Wardlow) 소장 등이 참석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잦은 이상기후 현상으로 강수량의 변동성이 커지고 지역적 가뭄발생이 심화되면서 가뭄에 대한 장기계획 수립이 요구 되고 있다. 이에 공사와 한경대는 선제적 농업가뭄 대응 체계를 마련 8일 간격 단위로 농업가뭄지도를 제작하기로 했다.

 아울러 미국 전역의 종합적 가뭄 모니터링을 해 온 NDMC와 CALMIT와의 국내․외 공동 연구과제 발굴·수행은 물론 위성영상 모니터링 기술과 지속적인 가뭄 조기경보 시스템 연구/정책 분야 의사결정 지원 및 전문 인력 양성, 공동 세미나, 학술·기술 교류 등 폭넓게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위성영상을 분석하는 최신 기술을 농업가뭄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공간적 제한성을 극복하고 독립적인 위성영상 기반 인프라 구축이 기대된다.

 농어촌연구원 최강원 실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양국의 농업가뭄 대응 정책 분야 및 기술발전 등 전반에 대한 협력적인 거버넌스 구축으로 가뭄대응 능력 시너지 극대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경대학교 남원호 교수도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 가뭄이 빈발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를 사전에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 가뭄 모니터링 기술 개발, 가뭄 전망 정확도 향상 및 향후 농업 가뭄 분야 정책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공동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농어촌연구원과 한경대는 농업가뭄지도 생성에 관한 영상 분석에 관한 선진 기술을 비롯한 가뭄 모니터링에 대한 부분별(영상 전처리, 합성, 모니터링, 예측 등) 기술 교류 등 지속적인 협력 방안 마련으로 물관리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