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 실현, 경제 살리고 일자리 만드는 해법’

송한준 의장, 언론사와 간담회

 송한준 경기도의회 의장이 “지방의회가 주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소통하는 기반이 마련돼야만, 지역의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촉구했다.

 송한준 의장은 31일 낮 12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언론사 간담회’에 참석해 “도민 피부에 와 닿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만들어내기 위해선 지방분권이 실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가 ‘주민이 주인 되는 지방자치, 지방이 바로 서야 대한민국이 행복합니다’라는 주제로 개최한 이날 간담회는 송 의장을 비롯해 신원철 협의회장(서울시의회 의장), 인천·세종·전북·대전 등 총 6개 지방의회 의장과 신문·방송·통신사 언론인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3월 29일 정부가 발의한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인 것과 관련, 지방의회 의장들이 개정안의 주요내용과 국회 통과의 필요성을 기자들에게 직접 설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송 의장은 이 자리에서 지방분권을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등 ‘도민을 위한 정책을 만들기 위한 해법’으로 규정한 뒤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에 담긴 ‘인사권 독립’과 ‘정책지원 전문인력 도입’이 하루빨리 실현돼야 대한민국이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의장은 먼저, 경기도의 사례를 들며 정책지원 전문인력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경기도 인구가 1,360만 명이고 한 해 예산이 44조 원에 달하는데 그 일을 142명의 의원이 다뤄야 한다”며 “의원 한명이 예산심의에 조례 제정, 행정사무감사, 현장방문 등 모든 걸 혼자 감당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상세히 설명했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 연안의 문화와 생태 보전을 위한 조례를 만들기 위해 평택부터 임진강에 이르는 142km에 달하는 연안을 혼자 걸으며 정책지원 전문 인력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느꼈다”면서 “전국 829명의 광역의원은 가방을 들어주는 비서진이 아니라 연안을 함께 걸으며 정책을 고민하고 만들어나갈 인력을 원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인사권 독립에 대해서는 “광역의회 인사권이 도지사 권한이기 때문에 인사이동이 잦고, 의회 직원들이 연속성과 전문성을 갖추기 어려운 현실”이라며 지방의회의 애로사항을 피력했다.

 이와 관련, 송 의장은 지방과 중앙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위해 국회가 연내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 줄 것을 간절히 당부했다.

 그는 “1년 전 지방자치의 날 대통령께서 지방분권 실천을 약속하고 이후 정부가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국회는 여전히 마비 상태에 있다”며 “지방은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국회만 바라봐야하는 상황”이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송 의장은 “지방분권은 광역의원의 편의 수단이 아니라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정책을 지방이 중앙과 함께 만들겠다는 의지”라면서 “올 하반기 정기국회에서 법안이 반드시 처리될 수 있도록 주민 분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송한준 의장은 지난 8월 제16대 전반기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회장 임기를 마친 뒤, 고문으로 재임하며 지방분권 강화를 위해 활동 중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