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진학 안한 한부모 자녀 지원 연장’

경기도 요구,여가부 '수용' 결정

 어려운 가정환경에 놓여 취업 등에 어려움을 겪어온 한부모가족 자녀가 경기도의 건의로 1년 동안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극심한 취업난과 지원 중단이라는 ‘이중고’를 겪어야 했던 지난해 기준 경기도 내 37만 한부모가족의 부담이 완회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는 7일 민생규제 발굴을 통해 지난 6월 국무조정실에 건의한 ‘한부모가족 자녀 자립준비기간 신설’안에 대해 최근 여성가족부가 수용 의사를 전해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여성가족부는 내년 중 법령 개정 절차를 통해 ‘한부모가족지원법 개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도는 설명했다.

 도에 따르면 현행 한부모가족지원법은 소득 및 신청 기준에 부합하는 한부모가족의 만 18세 미만 자녀 한 명당 매달 20만 원의 양육비 지원을 비롯, 전기요금과 건강보험료, 휴대전화요금 감면 등 다양한 지원 혜택을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적용하면, 한부모가족 자녀가 고교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할 시 지원혜택은 만 22세까지 연장되지만, 대학에 진학하지 않을 경우 혜택은 만 18세가 초과되는 시점부터 중단된다. 이 때문에 고교 졸업 후 바로 취업을 준비하는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은 갑작스러운 지원 중단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왔다.

 도는 이 같은 애로사항을 파악해 지난 6월 국무조정실 민관합동규제개혁추진단에 법률 개정을 건의했고,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전달받았다고 설명했다.

 도 관계자는 “이번 규제개선으로 전국의 저소득 한부모가족이 직면할 수 있는 복지지원 사각지대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한부모가족이 하루빨리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법령 개정이 반드시 필요한 만큼, 소관부처의 신속한 관련 법령 개정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고사 직전 지역언론,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으로 활성화 모색한다
지방자치와 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언론(지방일간지,지역주간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회 차원의 대책마련이 추진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학영 국회부의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임오경 민주당 간사를 비롯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윤덕, 박수현, 양문석, 이기헌, 조계원 등 국회의원 8명이 한국지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오는 9월 25일 오전11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역주간신문 165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역신문협회(회장 권영석, 봉화신문 대표)와 시도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방일간신문 9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회장 이동관, 대구매일신문 대표)는 ‘국민이 직접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사에 지원금을 주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저널리즘을 견인하고 언론사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 투명하고 공정한 미디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를 임오경 등 8명의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박수현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며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지역언론에 대한 이해가 깊은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