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문화일상 실현과 문화재 창출 통해 문화혁신 도시 만든다

지역문화진흥 시행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 채택

 안성시가 지난 24일 시청 4층 대회의실에서 제2차 지역문화진흥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용역은 지난 1차 계획을 평가·분석하고, 정부와 경기도 문화정책 방향을 선제적으로 분석하며, 다양한 시민 설문조사를 토대로 정책의견을 수렴해 지역문화진흥에 대한 향후 비전 및 과제를 도출했다.

 용역결과 앞으로 5년간 ‘시민 문화일상 실현과 문화 재창출을 통한 문화혁신도시’를 비전으로 3대 추진전략과 12개 핵심과제 추진을 제시했다.

 제시된 12개 핵심과제는 △문화거버넌스 △문화예술기반 유지관리 △문화진흥개선 △지역-대학 문화상생 증진 △문화예술 지원활성화 △소외계층 문화향유 증진 △일상형 문화예술 활동 △특화예술 증진 △문화자원 및 문화유산 발굴연구 △지역문화유산 가치확산 △디지털 문화콘텐츠 기반육성 △문화다양성 증진이다.

 지난 중간보고회에 이어 최종보고회에서도 문화증진을 위한 송곳 같은 질문과 의견들이 쏟아졌고 이에 대한 사안들을 최종보고서에 담을 예정이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안성시의 여건과 특색이 반영된 문화예술진흥이 절실히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분석을 바탕으로 매년 새롭고 멋진 문화정책을 시민들에게 선보였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한편, 안성시는 12월 중 지역문화진흥 시행계획 수립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