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 산업’붕괴 우려

한미 FTA 대책 조기 수립이 중요

 한미 FTA 체결로 포도생산 농가들이 불안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포도농가들의 규모화 생산력, 조직화가 제대로 성립되지 않은 열악한 상태에서 미국이라는 거대한 나라의 농가와 대결하기에는 아직 어렵다는 것이 농가들의 생각이다. ·칠레 FTA7년 전 발효될 때 정부에서는 포도 산업에 피해가 없다고 말했으며 심지어는 포도산업의 경쟁력이 국제수준으로 높아졌다는 분석을 내놓았지만 포도생산 농가들의 보는 시각은 달랐다. 우리나라 포도 산업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칠레산 포도 수입량을 보면 알 수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자료를 보면 국내 포도 생산량은 2003376430톤 이었지만 2009년에는 332978톤으로 그리고 지난해만 해도 326628톤으로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칠레산 포도 수입량은 한·칠레 FTA발효 후 첫 해인 20048117톤에서 지난해 3904톤으로 무려 272%나 급증했다. 이 기간 올 11월말까지 수입량만도 39339톤으로 지난해 보다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평균 포도 소비량은 34만 톤으로 약 10%에 이르는 수준으로 국내 포도생산량의 감소분을 칠레산 포도가 채워가며 국내 포도시장의 점유율을 높여갔다.

 국내 포도가 이렇게 설 자리를 조금씩 잃어가는 상황에서 한·FTA체결로 미국산 포도 마져 수입되면 결국 국내 포도 산업은 붕괴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생산농가의 걱정이고 불안이다. 포도생산농가들은 칠레산은 국내 포도의 비수확기 수입돼 하우스 포도에만 일부 영향을 주었지만 미국산이 수입 시기는 국내 포도수확기와 맞물려 노지 포도에도 직접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된다고 말했다. 당장 수입되는 칠레산 포도가 수입물량의 80%만 차지하고 있는데 미국산의 수입량 증가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많은 농가들이 보고 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