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돌봄 수기 공모전 입상작 시상

위기가정 사례 관리 통해 자립지원 기대

 안성시가 12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무한돌봄 수기 공모전 입상자 시상식을 가졌다.

 시는 무한돌봄 서비스의 필요성을 알리고 사례관리 효과성을 알리기 위해 무한돌봄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안성시민과 서비스 연계를 협력한 경험이 있는 복지실무자를 대상으로 무한돌봄 수기 공모전을 개최했다.

 이번 수기 공모전에는 모두 28편의 수기가 공모 접수했으며 외부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수혜자 부문 4, 실무자 부문 4명 등 총 8명을 선정했다.

 수혜자 부문 최우수작에는 희망의 노래라는 제목으로 일죽면 박 모 씨의 수기가 당선됐으며 실무자 부분의 경우 숨은 진주라는 제목으로 일죽면 장미애(사회복지 9)주무관이 최우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심사를 맡은 한국문인협회 임충빈 안성지부장은 극한 상황에서도 희망의 세상을 찾아 의리를 다지는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져 오히려 큰 용기를 얻었다면서 사회복지사들의 무한봉사에 고개가 저절로 숙여진다고 말했다.

 수기 공모전에 당선된 작품들은 무한돌봄 희망나무 사례집으로 발간해 관련 협력기관에 배부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사례집으로 인해 사례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응모자 뿐 아니라 모든 수혜자와 실무자에게 희망을 갖도록 서로에게 힘을 불어 줄 것을 기대했다.

 한편 안성시무한돌봄센터는 민간·공공의 협력으로 위기에 놓인 가구를 자립 지원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