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공기업부채 눈 덩이

안성시설관리공단 600%

 경기도의 지방공기업 부채가 현 정부 들어 각각 2배가 넘거나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31개 지방공기업의 부채는 지난 2007년 이후 꾸준히 늘어나 지난해 연말 기준 86575억 원으로 246%에 이르렀다.

 지역별 부채율은 인천시 11개 지방공기업이 77761억 원으로 부채비율이 188%였으며 강원도 395%, 울산 324%, 전북 285%, 경남 270%에 경기도가 다섯 번째로 높은 부채비율을 보여주었다.

 도내 개별 공기업으로는 안양시설관리공단이 무려 1300%로 집계되어 244%의 태백관광개발공사 1467%의 마포구시설관리공단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높은 부채 비율을 나타냈다.

 안성시의 안성시설관리공단이 600%로 부천시 시설관리공단의 743% 보다 낮았으나 파주시시설관리공단 583%, 평택항만공사 450%, 의정부시설관리공단 385%, 화성도시공사 342%, 경기도시공사 310%, 용인도시공사 30%, 성남시시설관리공단 300%로 부채율 상위 30개 지방공기업에 포함됐다. 공기업 부채 관련 내용은 백재현 국회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다.

 백 의원은 사업의 비용 효과 분석 등을 제대로 하지 않고 방만하게 경영할 경우 지방공기업의 부채가 누적된다경영실적에 대한 합리적인 통제, 인센티브제도, 최고 경영자 확보, 공기업의 선진화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지방공기업 설립의 기본 취지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