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시간 고속도로 건설 안성시가 주도한다’

조기건설 통해 안성이 중심거주·경제지역으로 부상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건설은 국가 기간망 사업이며,

수도권의 주요도로와 안성시 그리고 충청권을 연결하는 핵심적인 교통망

확충사업으로서 조기건설이 필요 하다.’

 안성시는 제2경부고속도로인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조기건설에 필요한 예산의 효율적 투자와 재정부담 완화를 위해 지난 14일 관련 시군간담회를 개최 했다.

 서울~세종간 고속도로는 지난 2008년도 계획을 수립한 고속도로로서 수도권 중부 내륙 주요도시 및 충청권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등 129.1km로 1단계 서울~용인(40.5km)과 2단계인 용인~세종시간(88.6km)으로 나누어 시행하는 사업으로 당초 2009년 8월 사 전환경성 검토서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용인시에서 가진 후 2017년 12월말까지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겠다고 정부가 밝힌 대동맥 교통망 건설사업이다.

 그러나 2009년 8월 주민설명회 개최이후 일부 지역의 토지에 대한 민원발생 및 정부부처의 예산 뒷받침 미흡 등으로 현재까지 기초조사 이후 기본설계를 진행하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정부의 많은 부처가 세종시로 이관한 상태이고, 국무총리실까지 이전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요한 기반시설인 교통망 구축 이 계속 지연되고 있는 것을 타개하기 위해 안성시가 팔걷고 나섰다.

 안성시 주관으로 수도권 교통난 해소와 서울~세종간 교통편익을 위한 고속도로 건설계획 타당성 조사이후 중단된 사안에 대해 관련 지자체간 협력을 통한 고속도로 조기 건설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안성시, 하남시, 용인시, 천안시, 세종특별시, 공주시간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의 주요 안건으로는 제2경 부고속도로 건설 관련 공동의견 및 협력추진 문제 사업 조기착수를 위한 해당 시군의 공동건의서 시행, 사업 시행상 문제점과 해소방안 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는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건설은 국가 기간망 사업으로 수도권의 주요 도시와 충청권을 연결하는 핵심적 인 교통망 확충사업이다” 라면서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개청 했지만 많은 기반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며, 이를 보완할 고속도로건설을 시급히 착수해야 한다” 고 사업의 시급성을 제시했다. 이어 “당초 계획보다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지연된 만큼 이를 만회할 정책적 판단이 시급한 시기” 라고 말했다. “아울러 사업이 지연되는 주요 쟁점 사항이 도심지 통과 도로개설에 따른 민원과 생활환경저해 등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업시 정부에서 적극적인 해결 방안 모색과 관련 지자체간 전향적 협조가 필요하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 이라고전했다.

 참가 지자체는 앞으로 서울~세종간 고속도로의 조기 착수를 위한 지자체별 건의문 발송 및 공동 건의문 채택을 노선이 통과하는 11개 지자체와 광역단체의 협력 체제를 같이 하기로 했다.

 한편 서울~세종간 고속도로가 건설될 경우 안성시~세종간 4~50분, 서울~안성간 50분이 소요되면서 안성시가 서울, 세종간을 연결하는 주거 및 경제 중요지역으로 각광받게 될 것으로 도시 전문가들은 보고있다.


지역

더보기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