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사회적경제기업 소규모 직거래장터 확대 추진

3차례 시범운영 결과 소비자들 ‘큰 호응’

 경기도는 사회적기업의 제품판매 촉진을 위한 소규모 직거래장터 시범사업인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특별전’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의 호응이 이어지자 이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특별전은 지난 4월 문을 연 굿모닝카페에 입점한 사회적경제기업의 제품 판매 촉진을 위한 소규모 직거래장터 행사다. 경기도는 광교비즈니스센터 1층 로비에 ‘굿모닝카페’라는 이름의 사회적기업 복합지원공간을 설치했다.

 첫 번째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특별전은 지난 17일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본관 1층 로비에서 5개 사회적기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려 100여만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예상외의 성과를 거뒀었다. 이어 23일 6개 사회적기업이 참여한 두 번째 특별전을 열었고 역시 200여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두 번의 시범운영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한 경기도는 30일 경기도청에서 세번째 경기도사회적경제기업 특별전을 진행했다. 경기도청 제3별관 1층에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7개 업체가 참가해 400여만 원의 매출을 거두는 등 좋은 성과를 거뒀다.

 특별전에 나선 한 업체 관계자는 “장터 행사에서 매출액을 크게 기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런 기회를 통해 업체를 알리고 여러분들에게 우리 제품을 보일 기회를 얻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예상외로 매출에도 크게 기여한다는 점이 놀랍다. 행사를 진행해준 경기도에 큰 감사를 보내고 싶다”며 만족감을 표했다.

 이기우 도 사회통합부지사는 “사회적경제기업 특별전은 사회적경제 기업들의 가장 큰 어려움인 판로개척을 위해 경기도가 직접 팔을 걷어붙인다는 뜻”이라며 “도청을 시작으로 각 시·군 및 공공기관, 지역 축제 등 경기도가 힘을 낼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갈 수 있도록 행사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