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관련기관 홈페이지 273개→87개로 통합

홈페이지 반응속도도 4초 이상 빨라지고, 사용자 편의성도 증대

 경기도가 273개에 달하는 경기도 관련 기관 홈페이지를 87개 홈페이지로 통·폐합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본격 서비스에 들어간다. 경기도는 지난 20134월부터 시작한 경기도 통합홈페이지 구축사업이 완료돼 오는 2016시부터 새로운 홈페이지(www.gg.go.kr)를 공개한다고 19일 밝혔다.

 경기도는 2013년부터 각 실·국과 산하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던 259개 홈페이지에 대한 통폐합 작업에 들어가, 201441차로 129개 홈페이지를 12개로 통합했었다. 이번 2차 통합작업은 그동안 늘어난 14개 홈페이지와 기존 130개 홈페이지 등 총 144개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이뤄져 비슷한 기능이나 목적을 가진 홈페이지들을 통합해 75개로 줄였다. 이에 따라 기존 273개 홈페이지가 87개로 줄었다.

 통·폐합 과정을 거치면서 도와 관련 산하기관 등이 운영하던 38개 영어홈페이지는 모두 경기도청 다국어 홈페이지로 통합되거나 폐기됐다. 도는 이렇게 각 기관별로 운영되던 영어와 일어, 중국어 등 62개 다국어 홈페이지가 이번 개편을 통해 22개로 줄어들게 됐다고 설명했다이밖에 경기도 건설본부, 경기도 물가정보관리시스템, 투자유치 등의 홈페이지도 경기도청 통합홈페이지로 흡수·통합됐다.

 도는 기존 사용자의 혼선을 막기 위해 기존 홈페이지의 도메인으로 접속해도 통합홈페이지로 연결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한편, 도는 이번 홈페이지 개편작업을 통해 경기도청 홈페이지의 액티브X(ActiveX) 기능을 없앴다고 밝혔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새로운 운영체제인 윈도우 10 출시 이후 공공기관과 금융권, 온라인쇼핑몰 등 국내 주요 웹사이트의 액티브X 퇴출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시점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다는 것이 도의 설명.

 경기도 빅데이터 담당관실 관계자는 그동안 회원가입을 해야만 할 수 있던 민원신청 서비스나 공공정보 열람서비스를 모두 개방해 회원가입을 하지 않고도 경기도청 홈페이지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면서 새롭게 출시된 윈도우 10 사용자도 아무런 불편 없이 도청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일부 액티브X 기능이 남아 있는 산하기관 홈페이지도 연말까지 모두 액티브X 기능을 없애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시스템 개편에 따라 이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반응속도도 빨라졌다. 도는 홈페이지 구동 시 평균 6초 이상이 걸렸던 기존 경기도청 홈페이지의 반응속도가 이번 개편으로 2초 이하로 빨라졌다고 밝혔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가 대다수인 현 이용 추세를 감안해 모바일에서도 민원 접수와 목록 검색, 조치 결과 확인 등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민원신청 내용 조회만 가능했었다.

 사용자 편의성도 높아졌다. 도는 너무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복잡했던 기존 메인화면을 단순하게 바꾸는 대신, 다양한 콘텐츠를 좌·우 클릭을 통해 책처럼 넘겨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또한, 도는 홈페이지 오픈을 기념해 홈페이지 버그 찾기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821일부터 93일까지 2주간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경기도 홈페이지(www.gg.go.kr)를 방문해 오타부터 오류까지 불편사항을 이벤트 페이지에 남기면 된다. 도는 버그를 발견한 누리꾼 500명을 대상으로 소정의 편의점 상품권을 제공한다.

액티브X

액티브X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 본인 확인·결제 등을 위해 컴퓨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다. 익스플로러에서만 동작하는 비()표준 기술로, 다른 브라우저를 쓰는 인터넷 이용자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