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단의 땅 달리는 DMZ 자전거 투어, 올해 첫 행사 성황리 열려

임진각 통문 ~ 초평도 일원 임진강변 코스 운영(14km/17.2km)

 금단의 땅, DMZ에서 열린 올해 첫 자전거 투어가 성황리에 열렸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파주 임진각에서 ‘2016년도 제1DMZ자전거 투어가 열렸다.

 DMZ 자전거 투어는 DMZ 일원을 자전거를 타고 달릴 수 있는 국내 유일의 행사로,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가 지난 2010년부터 실시해왔다. 특히, 임진강변의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함은 물론, 안보현장을 가까이서 체험할 수 있어 참가자들의 호응이 매우 높다. 실제로 지난해에만 총 15,000명의 인원이 다녀갔다.

 이날 행사가 열린 파주 임진각에는 가족, 친구 등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민통선의 봄을 느끼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찾아온 200여명의 라이더들이 찾아와 성황을 이뤘다참가자들은 이날 임진각 통문에서 출발해 통일대교와 초평도를 지나 64통문을 돌아오는 임진강변 일대 코스를 달렸다. 특히, 행사는 참가자들의 능력에 맞춰 17.2km 중급 코스와 14km의 초급코스로 나눠 진행됐다.

 이외에도 엽서 보내기, DMZ 사진전, 쌍안경 관람 등의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됐으며, 참가자 전원에게 5,000원 상당의 농산물교환권과 생수, 간식 등을 제공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자전거 투어에 참가한 강석주(45)씨는 평소 미디어로만 접했던 DMZ 풍광의 감동은 직접 경험하지 못하면 느낄 수 없을 것.”이라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행사를 체험했으면 좋겠다. 지인들과 함께 다시 한 번 더 참가하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경기도는 올해 DMZ 자전거 투어를 이번 3월 행사를 시작으로 매월 넷째 주 일요일인 424, 522, 925, 1023일 총 5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오는 4월에 열리는 DMZ 자전거 투어 행사의 참가 접수는 44일부터 15일까지 경기관광포털 홈페이지(http://www.ggtour.or.kr )를 통해 신청 받는다. 참가비는 1인당 10,000원이며, 장비대여료 3,000원은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윤병집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올해 행사는 운영방법의 다변화 방안을 모색해 보다 풍부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누릴 수 있게 운영 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도 자전거투어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하겠다. 많은 성원을 당부 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올해 도의 대표적인 DMZ 체험행사인 평화누리길 걷기행사와 연계한 특별 자전거 투어를 파주 임진각 외에 연천과 김포에서도 실시한다. , 4월부터 11월까지 연천군 임진물 새롬랜드 야영장에 ‘DMZ 자전거투어 자전거 대여소설치·운영해, 방문객들이 평화누리길 11코스인 임진적벽길을 자전거로 달릴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관광공사 운영사업팀(031-956-8310)으로 문의하면 된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