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 미보급 지역, 식품접객업소 지하수 수질검사료 경감 ’

천동현 도의원, 보건환경연구원 운영조례 대표발의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천동현 의원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한 입법예고(4. 6 ~ 4. 11.)를 신청하였다. 개정안은 상수도 미보급 지역내 식품접객영업자의 지하수 수질검사 수수료를 경감하기 위한 것이다.

 천동현 의원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경기도 상수도 미보급 지역에서 지하수를 사용하는 식품위생업소는 총 6,939개소로 현행식품위생법상 식품위생업소는 매년 대장균·암모니아성질소 등 12개 부문의 수질검사와 2년마다 대장균·암모니아성질소외에 에틸벤젠·냄새·맛 등의 46개 항목에 대한 수질검사를 받아야 한다.

 현재 보건환경연구원에 수질검사를 의뢰하는 경우 46개 항목 검사 수수료는 267,720원이며, 12개 항목 수수료는 52,820원이다.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운영조례에 따르면, 도내 군부대장 또는 초··고등학교장의 명의로 먹는물에 대한 검사·시험 등을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하는 경우에는 수수료의 50퍼센트를 감액하고 있다.

 이번 조례안의 내용은 경기도 상수도 미보급 지역에 소재한 식품접객영업자가 지하수 수질검사를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에 신청하는 경우 수질검사의 수수료 50%를 감액하도록 정한 것이다.

 천동현 의원은 무엇보다도 상수도 시설 확보가 시급하지만, 불가피하게 지하수를 사용하는 식품접객영업자에게 수질검사 수수료를 지원함으로서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