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삼

안정웅

안성시 약초연구회 (104)

  만삼   

세계평화봉사단

안성시지회장 안정웅  

 이 식물은 해발 1,200~3,800m의 고랭지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만삼은 인삼 대용으로서 모기약으로 효력이 뛰어나고 오랫동안 다량 복용해도 아무런 부작용이 없이 효력이 증대 될 뿐이다. 그런데 국내에서 거의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안타깝게 여겨 소개 하려고 한다.

 만삼은 중국에서는 당삼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우리 식으로 만삼이라고 하면 아무리 찾아도 찾을 수가 없다.

 약리작용으로 신체 면역 기능 증강, 항산화 작용, 노화방지, 행궤양작용, 평활근 수축증강, 진정작용, 기억력 개선, 조혈기능 촉진 작용, 심장기능 보호, 폐암세포 억제 작용, 혈당 상승 작용, 뇌기능 향상작용, 위산증가 억제 작용, 자궁흥분 작용, 체온 하강 작용, 고지혈 강화 작용, 기억력 개선, 자유기 억제 작용 등 건위, 호흡기능 활성화 증강, 진액 생성 촉진 작용으로 비위 허약, 소화불량, 음식감소, 식욕부진, 사지무력, 묽은 변, 만성 해수, 천식, 식은땀, 기운과 혈액이 부족한 증상을 개선한다.

 기혈허약으로 인한 어지럼증, 울렁거림 등에는 만삼 15g, 황기 12g, 당귀 12g, 천궁 12g, 백출 8g, 숙지황 8g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 혈허로 잠을 잘 못자고 헛꿈을 꾸며, 꿈이 많고 잘 놀라는 경우 산조인 20g, 만삼 15g, 용안육 15g 사용된다. 기허로 인한 감기, 오한 발열에는 만삼 12g, 황기 12g, 방풍 6g, 백출 6g, 소엽 6g, 생강 3쪽 사용한다.

 기혈이 모두 쇠잔하고 열이 복부나 장권에 정체된 경우 만삼은 심장기능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에게 좋으며, 만성심장 쇠약 환자에게 약침제로 응용하면 심장의 박동력, 심장 지수를 현저히 증가시킨다. 협심증, 관상동맥경화증에도 심장기능의 증가로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 혈전억제 효과가 증명되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고사 직전 지역언론,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으로 활성화 모색한다
지방자치와 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언론(지방일간지,지역주간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회 차원의 대책마련이 추진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학영 국회부의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임오경 민주당 간사를 비롯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윤덕, 박수현, 양문석, 이기헌, 조계원 등 국회의원 8명이 한국지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오는 9월 25일 오전11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역주간신문 165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역신문협회(회장 권영석, 봉화신문 대표)와 시도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방일간신문 9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회장 이동관, 대구매일신문 대표)는 ‘국민이 직접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사에 지원금을 주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저널리즘을 견인하고 언론사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 투명하고 공정한 미디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를 임오경 등 8명의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박수현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며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지역언론에 대한 이해가 깊은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