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학생 10년 새 22만명 감소, 학교 통폐합 가속

소규모 학교가 많은 안성관내 학교 어떻게 될까? 지역과 학무모들 관심 집중

 경기도교육청이 학생 수 감소에 따라 학교 통폐합 등 교육환경 재구조에 박차를 가하면서 소규모 학교가 많은 안성시 관내 학교는 어떻게 될까? 지역과 학무보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도내 학령인구(621)20072446천여 명에서 20172223천여 명으로 223천여 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한 학령인구 수는 이천시 214천여 명, 양주시 216천여 명, 하남시 251천여 명 등 도내 지자체 인구수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학생 수 감소가 계속 이어져 2040년에는 학령인구가 1844천여 명으로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감소에 따라 학교별 정상적 학사 운영이 이뤄지지 않을 것을 우려, 2016년도부터 인근 지역 소규모 학교들을 통합해 적정규모학교로 육성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적정규모학교는 교육부 기준 학생 수가 초등학교 360명 이상 180명 이하, ·고교 450명 이상 1260명 이하, 학급수 18개 이상 36개 이하 규모의 학교다.

 교육부는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학교를 적정규모학교로 통폐합할 것을 권고하는데, 도내 대상 학교는 초등 166개교, 중등 57개교, 고등 11개교 총 234개교에 달한다.

 도교육청은 학생과 학부모,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2016년 성남, 안양, 여주, 수원, 연천, 이천, 화성 등 7개 지역 10개교를, 2017년에는 4개 지역 6개교를 통폐합했으며 2021년까지 도내 14개교를 통폐합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폐합 유형은 분교장을 초등학교로 흡수, 인근 남학교와 여학교 남녀공학으로 개편, 구도심 지역 학교 인근 택지개발지구로 이전 등이 있다. ·중 또는 초··고 형태로 학교를 하나로 묶는 통합운영학교도 추진되고 있다.

 도교육청은 통폐합으로 통학 거리가 멀어진 학생들을 위해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등의 지원을 강화하고 통폐합하면서 남는 학교 건물을 교육 시설로 사용하거나 지역 주민들과 공유하는 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7년 연천초등학교로 통폐합한 백록분교장은 학부모들의 의견을 수렴해 현재 드론, 3D 프린터 등 과학체험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국 최초로 초··고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매뉴얼을 제작 및 보급해 학교 현장의 고충을 최소화하고 있다.

 오형균 도교육청 적정규모학교육성추진단장은 "적정규모학교 육성은 학생 수 감소라는 교육환경 변화에 발맞춰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도모하기 위한 작업"이라며 "학생과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논의하는 현장 맞춤형 학교를 만들어가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고사 직전 지역언론,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으로 활성화 모색한다
지방자치와 지역공동체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언론(지방일간지,지역주간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회 차원의 대책마련이 추진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학영 국회부의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임오경 민주당 간사를 비롯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윤덕, 박수현, 양문석, 이기헌, 조계원 등 국회의원 8명이 한국지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와 오는 9월 25일 오전11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역주간신문 165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역신문협회(회장 권영석, 봉화신문 대표)와 시도 단위에서 발행되는 대표적 지방일간신문 9개사의 연합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회장 이동관, 대구매일신문 대표)는 ‘국민이 직접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사에 지원금을 주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저널리즘을 견인하고 언론사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 투명하고 공정한 미디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를 임오경 등 8명의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박수현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되며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으로 지역언론에 대한 이해가 깊은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