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은 하나인데 머리는 둘, 서로 죽기 살기로 싸워야…

대학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 ‘공명지조’

 지성의 상징인 대학 교수들이 보는 현실은 무엇일까? 상대가 죽으면 나도 죽는 것 모르고 국민들까지 편 갈라 싸우는 현실 빗대어 한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로, 어느 한쪽이 없어지면 자기만 살 것 같이 생각하지만 그러다간 모두 죽고 만다는 뜻의 ‘공명지조’(共命之鳥)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됐다.

 정치권이 서로 나뉘어 싸우는 것을 넘어 국민들까지 편싸움에 동조해 분열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담고 있다.

 15일 교수신문은 전국의 대학 교수 10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347명(33%)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공명지조를 꼽았다고 밝혔다. 불교경전인 불본행집경과 잡보장경을 보면, 이 새의 한 머리는 낮에 일어나고 다른 머리는 밤에 일어난다. 한 머리는 몸을 위해 항상 좋은 열매를 챙겨 먹었는데, 이에 질투심을 느낀 다른 머리가 화가 난 나머지 어느 날 독이 든 열매를 몰래 먹어버렸다. ‘운명공동체’인 두 머리는 결국 모두 죽게 됐다.

 공명지조를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교수(철학과)는 “서로를 이기려고 하고 자기만 살려고 하지만 어느 한쪽이 사라지면 자기도 죽게 되는 것을 모르는 현재 한국 사회에 대한 안타까움이 들어 이 사자성어를 선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명지조에 이어 올해의 사자성어 2위는 ‘어목(물고기의 눈)이 진주로 혼동을 일으켜 무엇이 어목이고 진주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의 ‘어목혼주’(魚目混珠)가 차지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를 대상으로 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조국 전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 두 사람 중에 누가 어목이고 누가 진주인지 아직 알 수 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지난해 선정된 올해의 사자성어는 ‘짐은 무겁고 가야 할 길은 멀다’는 뜻의 ‘임중도원’(任重道遠)이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에는 ‘사악한 것을 부수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는 뜻의 ‘파사현정’(破邪顯正)이 선정된 바 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