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민 의원, 작년 전기화재로 재산피해액 2천억원, 3년새 3배 증가

인명·재산피해 줄이기 위한 예방조치, 안전점검 중요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한 화재의 재산 피해액이 지난한해 2천억원을 넘겨 3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기간 동안 전기화재로 41명이 숨지고, 298명이 다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이 되고 있다.

 2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규민 의원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전기안전사고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전기화재로 인한 재산피해는 2천207억원으로 2016년 627억원보다 약 3.5배 늘었는데 이를 연도별로 분류하면 2016년 627억원에서 2017년 1천48억원, 2018년 1천130억원, 2019년 2천207억원으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유독 재산피해가 컸던 것은 4월 강원 고성·속초 산불로 인한 피해액 1천220억원이 반영됐기 때문으로 산림 면적 1천267㏊를 태운 고성·속초 산불은 한국전력의 전선 노후 및 부실 시공·관리 등 복합적인 하자로 인해 전선이 끊어지면서 발생한 전기화재였다.

 지난해 전기화재는 총 8천155건 발생해 총 화재 4만102건 중 20.3%의 점유율을 차지했는데 이를  2016년과 비교하면 전기화재 건수는 7.8% 늘었고, 점유율은 2.9%포인트(p) 상승했다.

 원인을 보면 전선의 손상으로 두 가닥의 전선이 접촉하면서 순간적으로 많은 열이 발생하는 단락(합선)이 5천603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접촉 불량(856건), 과부하(688건) 등 순이며, 장소별로는 주택 및 아파트 등 주거시설에 발화한 전기화재가 2천614건(32.1%)으로 가장 많았다.

 공장 및 작업장 등 산업시설(1천564건·19.2%), 간이음식점 및 노래연습장 등 생활서비스(1천321건·16.2%)에서도 전기화재가 잦았는데 감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도 2016년 18명에서 지난해 27명으로 늘었다. 부상자는 528명에서 481명으로 줄어 총 사상자는 546명에서 508명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장소별로는 전기공사·보수 현장(38.4%)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직업별로는 전기기술자(37.4%)의 비중이 가장 컸다.

 이규민 의원은 "전기화재는 자칫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와 전기안전공사는 사전 예방조치, 전기 안전점검 등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용인 국가산단 LNG 발전사업 허가취소 소송 제기
안성시의회 황윤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와 경기환경운동연합, 시민 소송인단이 함께 제기하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LNG 발전사업 허가 취소’를 요구하는 행정소송에 원고인단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소송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내 LNG 발전소 6기 신설을 환경영향평가와 기후변화영향평가 없이 허가한 것에 대한 소송으로, 그린피스는 이는 ‘절차적 정의를 상실한 행위’라는 주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를 상대로 하는 이 소송에는 450명의 시민 소송인단이 참여했다. 소송은 16일 접수됐고, 황 의원은 이날 서울행정법원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 그린피스, 경기환경운동연합, 시민들과 함께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이들은 연무를 배출하는 LNG발전소 조형물과 함께 ‘RE100 하자면서 메탄 뿜는 LNG건설?’이라고 적힌 플랭카드를 들어 LNG 발전사업이 미칠 위험성을 상징적으로 전달했다. 소송의 법률대리인인 김석연 변호사는 “기후위기 시대에 석탄을 LNG로 대체하는 것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의무화한 탄소중립기본법을 위반하는 것”이며, “발전사업을 먼저 허가한 뒤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현재의 제도는 이미 결정된 사업을 정당화하기 위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