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랜드마크, 한강

서울특별시의회 김기성 의장

  인류문명은 강을 중심으로 잉태됐다. 세계 4대문명의 발생지가 모두 강이라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한반도도 한강을 중심으로 수천 년 역사가 세워졌고 강을 따라 문화ㆍ경제ㆍ사회가 발전했으며 도시가 형성됐다. 문화의 보고인 서울도 한강에서 탄생했다.

 이만한 역사성을 담고 있는 곳이 어디 있겠는가. 우리네 삶의 흔적을 한눈에 보여주는 곳이 한강이며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랜드 마크는 바로 한강이다.

 서울은 지금 급속히 훼손된 한강의 자연경관과 역사ㆍ문화적 가치를 복원해 한강의 기적을 세계 속에 보여주기 위해 '한강 르네상스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4월 한강 르네상스의 첫 신호탄을 쏘아 올린 작품, '반포공원'이 선을 보였다. 이어 여의도ㆍ난지ㆍ뚝섬의 4대 한강공원이 문을 열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한강을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창출하기 위해 콘크리트 강둑을 자연 형으로 조성하고 둔치에서 수변 쪽으로 경사를 완만하게 하는 등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내년 상반기에는 '플로팅 아일랜드(Floating Island)'가 한강 반포대교 남단에 만들어진다. '인공섬'인 플로팅 아일랜드는 서울시가 662억 원을 들여 진행하는 사업이다. 내년에 완공되면 시민들은 색다른 자연친화적 수변 문화를 체험하고 세계인들은 색다른 인공 섬에 주목하게 될 것이다.

 내년 11월13일부터 5일간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에도 '플로팅 아일랜드'가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G20 정상회의라면 글로벌 핫이슈를 다루는 국제회의로 우리나라 '외교사'에 일대사건으로 평가될 만큼 중요하다. 개최 이후 사회 전반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나 한 차원 높아질 국격(國格), 브랜드 가치, 이미지까지 고려한다면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G20 정상회의 개최지인 서울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을 때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핵심인 '플로팅 아일랜드'가 국제적 명소로 거듭나고 한강의 기적을 다시 한 번 세계에 보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G20 정상회의는 한강이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세계적인 랜드 마크로 자리 잡을 절호의 기회다. 지금 서울은 '제2의 한강의 기적'을 꿈꾸고 있다. 런던의 템스 강, 파리의 센 강과 비교해도 절대 뒤지지 않는 한강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랜드 마크로 자리 잡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