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화정사 미륵당에서 ‘정월대보름 민속 미륵제’ 봉행

고려때 조성 ‘향토유적에 빛나는 거대한 입상과 보살입상’ 현존
선덕법사 “국태민안, 안성 발전, 모든 가정의 소원성취 기원”

 용화정사 청룡의 해 정월대보름 미륵제가 지난 24일 오후 3시 아양동 미륵당에서 많은 주민과 신도들이 참석한 가운데 봉행됐다.

 이날 용화정사 주지인 선덕법사가 천지신명께 명기받은 신장대을 들고 국태민안과 안성 발전 그리고 각 가정의 소원성취와 액운액살 소멸을 위한 미륵제를 정성껏 올렸다.

 아양동 미륵당에는 두 분의 미륵이 있는데 고려시대 조성된 석불여래 입상과 그 옆에 나란히 서있는 거대한 보살 입상은 안성사람들이 오래전부터 미륵부처로 존숭해 오고 있다.

 향토유적 10호에 빛나는 보살 입상과 그 옆에 서있는 거대한 석불 입상(향토유적 15호)에 대한 전설에 따르면 혼기를 놓친 총각이 장사를 해서 모은 동전을 제단 앞에 묻고 정성껏 기도한 뒤 소원대로 혼인을 해서 잘살았으며, 안성 땅에 힘세고 큰 장수가 있었는데 실수로 아양 미륵을 다치게 하여 전장에서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그래서 지금도 질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을 위시해 사업번창, 혼인성사, 대학입시 합격, 취직 등을 기원하기 위해 아양동 미륵당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선덕법사는 이날 많은 제물로 차례상을 만들어 놓고 미륵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이 땅에 오심을 찬탄하고 국운의 융성으로 좋은 나라, 편안한 국민, 가정마다 액운의 소멸로 건강과 행운이 가득하도록 기원했다. 모든 제식이 끝난 후 참석자들은 염원을 담은 횃대를 들고 각자의 소원을 열심히 기원했다.

 한국의 미륵 신앙을 현대 미록보살이 머물고 있는 도솔천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상생신왕(上生信仰)과 석가모니가 열반한 뒤 56억7천만년이 지나 도솔천에서 인간 세계로 내려와 미륵불이 되어 세 차례 설법하며 중생을 구제할 때 다시 인간으로 태어나 설법을 듣게 되기를 기원하는 하생신앙(下生信仰)의 두 가지로 전개된다.

 고려시대에는 주로 미륵상생 신앙이 유행되었고, 미륵을 법상종 계통 사찰의 금당(金堂)에 주존으로 봉안되었다. 당시 지방에서는 거대한 마애불이 미륵으로 조성되어 신앙이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미륵신앙은 민간 신앙과 합체해 무속에서 미륵을 적극적으로 수용했고, 마을의 장승이나 선돌 등이 미륵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하체 매몰불로 조성되기도 했다.

 용화정사 선덕법사는 높은 원력과 깊은 자비심으로 고통 받고 있는 중생을 위해 기원하며 함께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기도하며 봉사하고 있는 훌륭한 법사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안성은 전력 공급지가 아니다” 안성시의회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초고압 송전선로 안성지역 관통 건설 계획과 관련, 발 빠르게 지난 3월 18일 제23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공식 철회 요구 결의에 이어 안정열 의장의 반대를 위한 삭발식 단행과 송전선로 건설 반대 리본패용 등 한전의 일방적 추진에 맞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시민과 함께하는 기자회견을 통해 졸속 환경영향평가 무효와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촉구에 나서는 증 반대 투쟁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안성시의회는 시민의 건강과 지역 환경을 위협하는 용인 죽능리 LNG열병합발전소 건설계획에 강력히 반대하며, 해당 사업의 부당성과 환경영향평가 절차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기자회견을 지난 4일 오후 시청 별관 앞에서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안정열 의장을 비롯해 전·현직 의원, 보개면 석우 마을 김재홍 이장, 박성순 청년회장 등이 참석, 주민 동의 없는 졸속 환경영향평가 무효와 LNG발전소 즉각 중단을 외쳤다. 시의회는 성명서에서 “SK이노베이션과 중부발전이 용인시 원삼면 죽능리 용인 SK 부지 내에 1.05GW 규모의 LNG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경 10㎞라는 가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