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복지비용 편차 커

안성시 도내 6위 1인당 복지비용 48만3천원

 경기도내 사회복지 지출 규모가 시·군별 편차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 경제사회지표 개발 및 분석’ 보고서를 보면 도의 지난해 사회복지, 지출 규모는 4조8천135억 원으로 4조9천713억 원을 기록한 서울특별시 다음으로 높으면서 전국에서 두 번째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시·군별 1인당 복지비용을 보면 가평군이 81만 8천만 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연천군 77만 7천만 원, 과천시 61만7천 원, 동두천시 61만7천 원, 여주군 57만 1천 원, 양평군 55만 7천 원, 포천시 55만 원에 이어 6위로 분류된 안성시는 48만 3천 원이며, 그 뒤를 이어 이천시 47만5천 원, 양주시 43만6천 원이다. 안성시와 경계를 갖고 있는 평택시 38만 원, 오산시 31만6천 원, 용인시 27만7천 원이다. 규모가 큰 수원시 27만 2천 원, 화성시 31만 9천 원, 성남시 34만 9천 원, 부천시 30만 3천 원, 안양시가 최하위인 27만2천 원이다.

 경기개발연구원 관계자는 “사회복지와 관련해 예산 규모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역별 격차를 해소하는 일도 중요하다” 며 “복지 뿐 아니라 지표별로 가장 취약한 지역을 정해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개선책을 마련해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