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벼농사의 시작은 「맞춤형비료」 사용으로!

안성시농업기술센터 연구개발과장 안 흥 기

 온 산과 들의 푸르름과 더불어 어김없이 찾아온 모내기철이다.

모내기가 시작되기 전 필히 사용하는 것이 화학비료인데 지금까지

기준량을 생각하지 않고 눈대중으로 대충 계산하여 과다하게 살포해온 것이 현실로 환경오염의 큰 원인으로 지적돼 오고 있다 .

 이에 따라 금년부터는 모내기 전 사용하는 화학비료의 사용량을 2012년까지 30%를 절감하고 농가의 생산비도 25~27%를 절감할 수 있는 「맞춤형비료」를 공급하여 벼 생육에도 적합하고 환경오염도 막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할 계획이다

 「맞춤형비료」란 농업기술센터에서 농지별 토양을 검정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역별로 토양에 필요한 비료성분을 배합하여 만든 비료로서 일반 화학비료에 비하여 질소, 인산, 가리 함량이 낮고 토양에 부족한 미량성분은 보강할 수 있도록 토양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제조한 환경친화적인 화학비료이다.

 특히 벼농사에 쓸「맞춤형비료」는 토양에 꼭 필요한 비료성분이 들어가도록 제조했기 때문에 맞춤형비료 이외에 추가로 다른 화학비료를 주지 않아야 고품질 쌀을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다.

 맞춤형비료 이외에 추가로 비료를 줄 경우에는, 쌀의 단백질 함량이 높아져 밥맛이 떨어지게 되고 싸라기, 동할미 등 쌀의 외관품위가 나빠지기 때문이다.

 또한 벼 재배시 도열병이나 잎집무늬마름병과 같은 병해충의 발생이 증가하고, 쓰러짐 피해로 인하여 수량이 감소하며, 환경적으로는 화학비료의 추가사용으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맞춤형비료」의 거름 주는 요령은 맞춤형비료에는 밑거름에 가지거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밑거름을 논갈이 및 써래질하기 전에 10a당 30kg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절대로 가지거름을 주어서는 안 된다. 이삭거름은 이삭패기 전 15~25일경 웃거름용 맞춤형비료를 10a당 15kg만 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

 이렇게 좋은 점만 가진「맞춤형비료」는 전체적으로 비료사용량을 절감함으로써 국가적으로는 환경과 수질오염을 줄여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고, 농업인은 비료가격 등 생산비를 줄일 수 있고, 소비자는 고품질 농산물을 얻을 수 있는 등 장점이 많기 때문에 농업인께 필히 사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면서 농업인의 동참을 당부하고자 한다.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