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업 다기능 작물 재배용 생력 농기계 발명 성공

안성시농업기술센터 ‘농작업 동시 4가지 가능 신 개발 농기계’ 특허 취득

노동력·시간 절반 감소 가능

생산성 향상 농가 소득 증대 도

 농촌이 최근 계속되는 이농과 노령화로 일손이 부족한 상태에서 밭 작목과 논의 이모작 재배 등을 동시 4가지 작업이 가능한 생력 농기계가 개발되어 노동력과 시간을 절반까지 줄일 수 있어 농촌과 농업발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안성농업기술센터(소장 유수형)이 농산물 시장 개방과 농가 생산성 향상을 위해 다기능 생력 농기계와 작물재배용 생력 농기계를 개발해 특허청에 등록을 마치고 빠르면 2014년 상반기 농가에 보급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는 농가가 감자, 콩 등의 작물을 이모작 재배하려면 땅 고르기, 두둑 쌓기, 약제 살포, 비닐 멀칭, 콩 종자 파종 등의 작업을 위해 작업별로 트랙터에 개별 부속 작업기를 부착하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 했고, 그에 따른 부착 작업기를 각각 구입하고 작업해야 했다. 작업 시 종류별로 부착하므로 써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 되는 구조였다. 이에 따라 작업 시 감자와 콩 두둑은 폭이 달라 감자와 콩 두둑 생성 기계를 별도로 부착해 작업해야 하고 추가로 제초제, 살균제 등의 약제를 살포할 경우 각각의 장치로 행하거나 별도의 작업을 해야 함으로서 번거롭고 작업 단계가 많았다.

 이번 발명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는 절감 가능한 장치로 헥타르당 6명이 작업 하는 것을 3명 작업으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고, 시간상으로도 18.6시간 소요되던 것을 7시간 작업으로 마칠 수 있어 농가 생산성 향상과 소득 실익 제고에 큰 몫을 할 것으로 보인다. 새로 개발된 생력 농기계로 파종을 위한 멀칭 조절장치 배토(두둑) 간격 조절장치, 물을 공급하고 약제를 살포하는 작업을 생력 농기계에 일체화시켜 여러 가지 기능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다. 생력 농기계 발명으로 감자, 콩 재배 시 두둑의 폭이 달라도 두둑 폭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이모작 작업 모두 가능할 뿐 아니라, 감 자·콩은 물론 무 ,배추 등 중요 밭 작물 재배에도 적용 가능한 다기능 농작업기다.

 다기능 농기계의 효과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배토휴립기로 작업 시 1회 작업으로 작물별로 맞게 2두둑 또는 3두둑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동시에 비닐 피복과 콩의 경우 파종까지 마칠 수 있어 작업 효율도 크게 증진시켰다. 특히 만능 생력 농기계를 사용해 2차 정지작업, 배토 두둑형성, 제초제 등 약제 살포, 비닐피복, 파 종 작업을 동시에 실행 가능해 대규모 농사가 가능하다.

 안성시농업기술센터는 농가 생산성 향상에 큰 역할을 하게 될 이 생력 농기계를 농가에 조기에 확대 보급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에 정책 제안을 했고, 농식품부도 이 농기계를 긍정적으로 검토 중에 있어 농가에 농기계구입 지원 사업으로 채택될 예정에 있다. 이에 안성시농업기술세터는 직원 4명이 2년간 연구로 얻은 귀중 한 결과물인 생력 농기계를 우선적으로 2014년도 신기술 보급사업에 투입해 농가의 반응과 호응도를 조사해 양호한 결과가 나올 경우 농기계생산업체에 기술이전을 통해 전 지역에 보급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센터관계자는 “앞으로도 농가의 경영비를 줄여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농기계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 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안성시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호평 일색‥“올해는 이렇게 즐기세요!”
가을 축제의 대명사,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가 지난 9일 개막식을 진행한 가운데 한층 성숙해진 모습으로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올해 바우덕이 축제는 웅장한 메인게이트를 시작으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부스와 프로그램이 펼쳐져 눈길을 끈다. 축제장 입구에 마련된 종합안내소를 통해 각종 문의가 가능하고, 걸음을 옮기면 왼편에 보이는 대형 바우덕이 캐릭터와 테마파크를 마주한다. 올해 새롭게 구성한 이곳은 남사당 6(여섯)마당을 직접 보고 즐길 수 있는 몰입형 전통 놀이 공간으로 꾸며졌다. 특히 누구나 실제 외줄 위에서 어름(줄타기) 체험이 가능하고, 전통 인형극을 직접 해보는 덜미(꼭두각시극), 풍물 원데이 클래스, 바우덕이 페이스 페인팅, 덧뵈기 가면 만들기 등 가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수원에서 방문한 김모(40대·남)씨는 “매년 가을이면 바우덕이 축제를 빠지지 않고 찾아왔는데, 올해는 이전보다 공간구성이 잘 되어있어 이동하기에 편하고, 무엇보다 다채로운 체험이 있어 아이들이 좋아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재미있는 추억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바우덕이 테마파크를 체험했다면, 조선시대 3대 시장 중 하나였던 안성 옛장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