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식품 통해 농촌·농업발전 답을 찾아

장아찌 제조사 자격증 32명 취득

교육생들 영농조합설립

농산물가공사업 수출도전계획

 안성시농업기술센터(소장 유수형)이 FTA 등 농산물시장 개 방화시대를 맞아 전통식품을 활용해 농업과 농촌을 발전시키기 위해 특색 시책으로 추진 중인 6차산업화가 힘찬 출발을 하는것으로 밝혀졌다.

 안성시농업기술센터가 이렇 게 6차산업을 전통발효식품에 적용해 농가들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로컬푸드를 이용한 지역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장아찌 제조사 자격 검정을 취득케 하기 위해 교육생을 선발해 6일 동안 전통식품을 비롯한 6차산업 성공모델, 식품가공학, 원가계산 등의 이론교육과 2박 3일간 전북 진안 농경문화원 중앙교육원 현지에서 엽채류, 근 채류, 과채류 등 18가지 장아찌 제조 실습교육에 심혈을 기울인 결과 32명의 장아찌 교육생이 자격 검정에 합격했다.

 자격증은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인정하고 한국농경문화원에서 주관하는 민간자격증 중의 하나이다. 교육생들은 이를 계기로 자격증 취득에 그치지 않고, 영농 조합법인을 설립해 농산물 가공사업 및 수출에도 도전을 할 계획까지 세워 농산물 가공산업의 발전을 준비하는 등 희망적 자세와 신념으로 노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을 담당한 배수옥 생활자원팀장은 “이번 교육으로 우리의 전통음식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전통식품으로도 6차산업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면서 “앞으로 식생활 개선에 있어서도 한국 전통 식문화 정착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 이라고 교육 의지를 밝혔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