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농업기술센터 농업인 정보화 교육 실시

컴퓨터 기초 동영상만들기 등 총 8개 과정 선착순 모집

 안성시농업기술센터에서는 정보화시대에 농업인의 정보이용능력 향상을 통한 경쟁력 있는 농업인을 육성하고자 2015년도 농업인 정보화교육 신청을 받는다.

 교육과정으로는 컴퓨터 기초 및 한글문서 작성, 프리젠테이션, 엑셀, 포토샵, 동영상만들기 등 총 8개 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2시간씩 실시할 예정이다.

 모집대상은 농업인을 우선으로 안성시에 거주하는 시민이면 누구나 신청가능하며 과정별로 중복 수강신청도 가능하다.

 교육은 2기로 나눠 과정별로 선착순 20명씩 모집하며 1기는 2월말까지 2기는 6월말까지 신청하면 되고 교육비 및 교재비는 전액 무료로 지원된다.

 교육신청은 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http://www.anseongrgo.go.kr)교육안내-컴퓨터교육-교육신청하기에서 신청하거나 전화신청(031-678-3101~3102)도 가능하다.

 유수형 농업기술센터장은 오늘날 농업은 농업인 스스로 마케팅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농업기술센터에서는 매년 200여명의 수료생을 양성하고 있으며 농업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정보화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업인정보화 교육과정별 교육일시>

기수

교 육 기 간

과 정 명

교 육 내 용

수강인원()

1

3.93.13(1)

(10:0012:00)

컴퓨터 기초

PC운영체제

및 인터넷 검색

20

3.163.27(2)

(10:0012:00)

한글문서

한글문서 작성 및 편집

20

4.64.10(1)

(10:0012:00)

프리젠테이션 기초

파워포인트 기능익히기

20

4.134.24(2)

(10:0012:00)

프리젠테이션 활용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발표자료 만들기

20

5.45.8(1)

(10:0012:00)

엑셀 기초

엑셀 기능익히기

20

5.115.22(2)

(10:0012:00)

엑셀 활용

엑셀 계산식활용하기

20

6.16.12(2)

(10:0012:00)

사진 편집

포토샵을 활용한 사진편집

20

6.156.26(2)

(10:0012:00)

인터넷 활용

동영상 만들기

인터넷 활용

동영상 만들기

20

2

7.137.17(1)

(10:0012:00)

컴퓨터 기초

PC운영체제

인터넷 검색

20

7.207.31(2)

(10:0012:00)

한글문서

한글문서 작성 및 편집

20

8.108.14(1)

(10:0012:00)

프리젠테이션 기초

파워포인트 기능익히기

20

8.178.28(2)

(10:0012:00)

프리젠테이션 활용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발표자료 만들기

20

9.79.11(1)

(10:0012:00)

엑셀 기초

엑셀 기능익히기

20

9.149.25(2)

(10:0012:00)

엑셀 활용

엑셀 계산식활용하기

20

10.510.16(2)

(10:0012:00)

사진 편집

포토샵을 활용한 사진편집

20

10.1910.30(2)

(10:0012:00)

인터넷 활용

동영상 만들기

인터넷 활용

동영상 만들기

20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