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15만 명에게 18조 원 지급예상
국민연금이 기본적인 노후생활 보장 안전한 역할충실
국민연금공단(이사장 최 광)이 지난한 해3 75만 명의 수급자에게 13조 7천 799억 원의 연금(매월 1조 1천 483억 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이중 총 급여의 82%인 11조 3천억 원이 노령연금으로 지급되었고, 유족연금과 장애연금이 각각 10.6%, 2.4% 일시금이 5.0%를 차지했다.
연금수급자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40.6%로 전년대비 7만 6천 명이 늘어났다. 특히 유족연금 수급자 중 여성은 92.5%, 분할연금 수급자 중 여성은 88.2%로 남성에 비해 12배 이상 높아 상대적으로 노후준비가 취약한 여성의 소득 보장에 기여하고 있다.
전국 17개 시도별 지급 현황을 보면 서울(69만 명)이 2조 8천 339억 원으로 제일 높았으며, 경기도(72만 명)가 2조 8천 155억 원으로 그 뒤를 이었고, 1인당 지급액의 경우 울산지역(년 4백 832천 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652만 명)의 34.8%인 227만 명이 국민연금을 수령하고 있는 최근 5년간 65세 이상 인구 증가율이 1.2배로 증가한 반면 수급자 수는 1.8배 (2009년 1백 265천명→2014년 2백 2689천 명) 더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65세이상 인구 대비 연금수급자 비율은 전라북도 순창군이 46.1%로(9천 160명 중 4천 223명 연금 수급) 제일 높았고, 그위를 이어 경상북도 청도군이 45.8%로 2위를 차지했다. 국민연금수급자가증가하면서 지역별로 국민연금 수급자 동호회 및 인터넷 카페를 운영하고 함께 사회봉사 활동을 하며 적극적인 노년의 삶을 영위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노령연금을 받 는부부 수급자도 현재 21만 4천 456쌍으로 2010년 이후 연평균 24.3%씩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중 최고로 연금을 많이 받는 부부 수급자를 합산해 월 251만 원을 수령중이며, 은퇴부부가 기대하는 부부합산 생활비인 월 136만 원을 초과하는 부부수급자도 3천 428쌍이나 된다. 이처럼 부부가 함께 가입해서 각자의 연금을 받아 훨씬 안정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에 가입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국민연금 임의가입자 중 전업주부 등 여성의 임의 가입 비율이 8.4%로 높다.
20년 이상 국민 연금에 가입해 연금을 수령하는 수령자의 평균 연금 월액은 87만 원이며, 수급자중 최고액은 월173만 1천 510원이다. 노령연금의 경우 가입기간이 갈수록 연금 수령월액이 높은데 20년 이상 가입한 연금 수급자의 2008년 최초 1만 3천 명에서 2014년말 14만 4천 명으로 7년만에 11배로 늘어났으며, 현재 월평군 87만 원의 연금을 수령중이다.
현재 연금을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은 서울 강남구에 사는 A씨(65세)로 A씨는 국민 연금제도가 시행된 88년 1월부터 2009년 10월가지 23년간 국민연금에 가입해 2009년 11월부터 매월 130만 원 상당을 받을 수 있었는데 A씨는 향후 더 많은 연금을 받기위해 5년간 연금지급을 연기하였고, 연기기간이 끝난 지난 2014년 11월부터 32.8% 인상된 월 173만 1천 510원(연 2천만 원)을 수령 중에 있다. 또한 지난 해 12월말 현재 100세이상 연금수급자는 38명이며, 이 중 최고령자는 전남 나주시 에사는 B씨로 104세이다.
2015년 올해의 경우 총 415만 명 수급자에게 월 1조 3천 823억 원씩 총 16조 5천 875억 원의 국민연금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수급자와 연금지급액이 모두 각각 40만 명, 2조 8천 76억 원이 늘어나며 향후 2025년에는 수급자가 629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어 국민연금이 기본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는 안전한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저출산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안정된 노후 준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연금에 가능한 빨리 가입해 더 많이 오래 납부하 는 것이 좋으며 반납, 추납 및 임의 또는 임의계속 가입과 같은 국민연금제도를 적극 활용해 개인별 맞춤연금 설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현명한 노후대비를 위해 부부가 같이 가입하고 각각 연금을 받는 1인 1연금 설계도 적극 고려해 볼 만하다.
공단 관계자는 “공단은 맞춤형 노후설계를 통해 행복한 100세 시대를 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며 “연금수급자를 확대해 나감으로써 고령화 사회의 튼튼한 사회안전망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