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도시 안성서 1천 250만 도민 화합축제 팡파르

도내 30개 시군에서 1만 2천여 임원 선수참가 지역명예 걸고 한판 승부

 “함께 뛰는 경기의 힘, 맞춤도시 안성에서” 라는 슬로건을 내건 제61회 경기도 체육대회가 성대한 개회식과 함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430일 안성시 종합운동장에서 개최된 제61회 경기도체육대회 개회식에는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황은성 안성시장 등 주요 내빈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으며, ·군 선수단 및 안성시민과 학생 1만여 명이 참석해 안성에서 처음 열리는 경기도체육대회의 개회를 축하했다.

 개회식은 930안성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사전행사가 시작되며 막을 열었다. 이어 군악 의장대 시연과 태권도 퍼포먼스가 화려하게 펼쳐졌다. 뒤이어 식전행사에서는 안성의 혼, 새로운 꿈이 되어라는 주제 아래 안성시립남사당풍물단을 중심으로 구성된 안성시민연합풍물단 200여 명이 대규모 풍물공연을 선보였으며, 전문무용단 180여 명이 경기도와 안성시의 비전을 표현하는 군무로 관람객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공식행사에는 지난 해 세월호 사고로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한 희생자를 추모하는 묵념이 거행되었다.

 황은성 안성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 ‘61’ 이라는 숫자는 우리나이로 치면 환갑으로, 육십갑자가 한 바퀴를 순환하고 다시 돌아오는 새로운 세상,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이번 61회 경기도체육대회는 우리 안성에서의 첫 대회이며 다시 60을 너머 새롭게 시작하는 만큼, 이전의 대회와는 분명한 획을 긋는 더 넓은 만남과 교류의 장으로 기억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공식행사 종료 후에는 인기 가수 나인뮤지스와 박현빈, 신유가 출연, 대회의 흥을 돋우고 선수들의 선전과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응원했다.

 안성에서 개최되는 제61회 경기도체육대회는 지난 해 세월호 사고로 인해 제60회 대회가 취소됨에 따라 올해 안성시에서 개최하게 되었으며, 430일부터 52일까지 3일 동안 안성시 종합운동장 등 23개 종목별 경기장 32곳에서 개최된다.

 안성시는 도민체전에 앞서 깨끗한 환경이 바탕이된 채전을 선사하기 위해 공직자는 물론 유관기관, 사회단체 등이 총망라된 환경정비를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거리의 흉물인 불법광고물 등을 집중적으로 정비해 체육대회 기간 안성시를 방문하는 선수와 방문객들에게 깨끗한 도시 이미지 향상에 크게 기여케 하는 등 경기도체육대회의 모든 준비를 완벽하게 마쳤다. 이와 함께 경기도체육대회를 비춰줄 성화가 28일 안성3·1운동기념관에서 채화됐다.

 안성시는 3·1운동기념관에서 성화채화 행사를 오전 10시에 갖고, 28일과 29일 양일간 15개 읍면동을 돌며 지역내 봉송길에 올랐다. 이날 행사는 안성문화원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이어 제천례와 칠선녀 성무로 분위기를 한껏 고조 시켰다.

 채화된 성화는 제주(祭主)인 황은성 안성시장에게 전달됐으며, 다시 성화부장인 임학근 안성시체육회 상임부회장에게 인계되어 이틀간의 성화봉송에 올랐다. 성화봉송을 통해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독려하고, 개회식날인 30일 개회식이 열리는 종합운동장 주 경기장에 설치된 성화대에 성공대회를 알리는 점화가 이뤄졌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