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성 10명 중 9명 다이어트 경험

그중 8명은 “부작용 경험”

경기도 홈런, 설문결과 여성 10명 중 9명 다이어트 경험 있어

선호하는 다이어트 운동은 헬스, 걷기, 요가, 달리기, 등산 순

가장 다이어트 하고 싶은 부위는뱃살

다이어트 경험자 중 81.5%는 부작용 경험

요요 51.2%, 빈혈 24.9% 그 외 피부탄력감소, 노안, 탈모 등

다이어트의 가장 큰 실패요인은 식욕조절 실패

여성 키 160~165cm에 가장 이상적인 몸무게는 50~52kg 응답

홈런, 건강한 다이어트 성공을 위한 무료 온라인교육과정 운영

 경기도 여성 10명 중 9명은 다이어트 경험이 있으며 이 중 8명이 다이어트 부작용을 경험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무료 온라인교육사이트 홈런(www.homelearn.go.kr)’71일부터 15일까지 여성회원 1,600명을 대상으로 다이어트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중 90.4%(1,445) 다이어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은 81.5%(1,177)으로, 부작용 종류로는 요요 51.2%(741), 빈혈 24.9%(360), 피부탄력감소 21.0%(304), 노안4.9%(71)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다이어트를 하고 싶은 신체 부위로는 뱃살이 53.0%(766)로 가장 많았으며 허벅지 29.1%(421), 팔뚝 6.6%(96), 종아리 4.6%(66) 순으로 응답했다.

 다이어트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스스로의 자신감을 상승시키기 위해서70.7%(1021)’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건강이 걱정돼서 20.6%(297)’, ‘가족 등 주변 사람의 지적으로 다이어트를 한다는 의견도 6.0%(87)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시 가장 선호하는 운동으로는 헬스 28.0%(405), 걷기(빨리걷기) 18.1%(261), 요가 12.3%(178), 달리기 10.0%(144), 등산 7.2%(104) 순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시 선호하는 식이요법으로는 평소와 똑같이 먹되 소식’ 45.7%(611) ‘야채, 과일 위주의 채식 중심 식단’ 20.6%(298), ‘고단백 저칼로리(닭가슴살, 두부 등) 식단’ 14.0%(202), ‘11’ 6.2%(90) 순으로 응답하였다.

 다이어트를 할 때마다 거의 실패했다고 응답한 481명은 다이어트의 주된 실패요인을 식욕조절 실패’ 57.4%(276), ‘동기부여 부족’ 17.0%(82), ‘운동을 하지 않아서’ 12.5%(60)라고 응답했으며 잘못된 다이어트 상식이나 자신에게 맞지 않는 다이어트 방법을 선택한 것이 실패요인이라고 응답했다.

 여성의 키를 160~165cm로 가정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몸무게를 묻는 질문에는 50~52kg53.2%(855), 53~55kg40.6%(599)로 나타났다.

 한편, 경기도 e-배움터 홈런(www.homelearn.go.kr)은 경기도민의 건강한 다이어트 성공을 위해 권도예와 함께하는 하우 투 여성헬스 건강한 다이어트 성공비법 등의 생활체육 및 건강분야 온라인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본 과정은 누구나 수강신청만 하면 무료로 배울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도 학습이 가능하다.

경기도 홈런(www.homelearn.go.kr)은 경기도가 운영하는 무료 온라인교육사이트로 외국어, 자격증, 정보화, 생활취미, 경영, 가족친화, 다문화 등 무려 800여 종의 다양한 콘텐츠를 36524시간 무료로 제공하는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공e러닝 학습사이트이다.

 홈런 온라인교육에 대한 자세한 이용방법은 전화(1600-0999)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