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硏, 경기북부 교외선에 노면전차 도입 제안

경기 북부지역 관광 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 유도

2004년 이후 여객수송을 중단한 교외선 운행 재개

기존 교외선 단선철도에 배터리 충전으로 운행이 가능한 무가선 트램을 관광열차로

운행하여 수도권 주민의 휴식 공간 제공

 운행이 중단된 교외선에 배터리 충전으로 운행하는 무가선 트램(노면전차)을 도입하여 경기 북부지역 관광을 활성화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무가선 트램은 열차에 탑재한 2차 전지를 주동력으로 전기선 없이 주행하는 첨단교통시스템이다. 경기연은 연구 결과, 1회 충전으로 25~35운행이 가능한 무가선 트램은 능곡역과 의정부역을 연결하는 31.9의 교외선 구간을 운행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교외선 활용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이와 같이 밝히고, 현재 군용열차만 비정기적으로 운행되는 교외선 재개통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경기연은 교외선 주변 지역에서 교외선 복선전철 건설을 요구하고 있으나 예비타당성 분석 결과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승객수요 부족 등의 이유로 중단된 단선철도가 언제 재개통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 단선철도라도 운행을 재개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설명했다.

 기존 교외선 선로를 활용하여 무가선 트램을 운행하면 운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재개통이 가능하다는 것. 교외선 운행재개를 통해 고양, 양주, 의정부 지역을 철도로 연결하고 관광객을 적극 유치하면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경기연은 또 철도 접근이 불편한 북한산, 도봉산 북측 등산로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일영, 장흥, 송추 등 사람들이 즐겨 찾던 관광지의 활성화를 위해 철로 주변의 미관을 정비하는 한편 주말농원 등을 조성하여 가족단위 방문을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교외선은 출·퇴근보다는 관광열차 성격을 갖는 철도이므로 이에 맞는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지역의 발전전략과 연계 관광열차 성격에 맞는 활성화 전략 마련 역사(驛舍) 수선 시 역별로 특성을 부여하여 역사 자체를 관광 상품화하는 전략 마련 경기 북부순환 자전거도로와 교외선의 연계를 통한 이용 활성화 유도를 고려 대상으로 꼽았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