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노인자살률 17.8명 감소

지속가능한 경기도 노인자살예방사업 방안 제시

 경기복지재단(대표이사 박춘배)은 경기도 노인자살예방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과제를 제시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는 2011년부터 노인자살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1년 대비 2013년 전국 평균 노인자살률 감소폭이 -15.9(인구십만명당 자살률)인 것에 비해 경기도는 -17.8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경기도 노인자살예방사업은 노인복지부서와 정신건강영역에서 같이 실시하고 있어 노인자살의 원인이 정신질환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경제적인 어려움, 외로움 등 복합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매우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 이원화되어 있어 유기적이지 못한 서비스 연계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보고서는 노인자살을 줄이기 위해서 복지, 보건, 의료 영역 간 기능적 융합모델 구축과 정확한 데이터 근거기반의 노인자살예방사업 전개 사전, 사후 개입전략의 체계적인 노인자살예방사업의 구축 생명존중사상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박춘배 대표이사는 노인자살예방은 우선적으로 자살자 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접근되어야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노인이 행복하게 생을 마감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향으로 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면서 복지, 보건, 의료 영역 간 기능적 융합을 통한 지속가능한 노인자살예방사업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복지재단 홈페이지(www.ggwf.or.kr)에서 볼 수 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