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 “새로운 경제공동체, 따복경제타운 조성”

사회적경제 기반 지속가능한 공동체 모델 개발 위한 벤치마킹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사회적경제를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공동체 발전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지난 103일 오전 국내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로 꼽히는 구례 자연드림파크를 방문한 자리에서 오픈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회적경제와 공동체가 융합되고, 문화와 복지가 어우러진 경기도형 따복경제타운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날 남 지사가 방문한 구례 자연드림파크는 국내 대표적인 생활협동조합인 아이쿱생협이 운영하는 친환경 농공단지로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을 융복합한 농업6차산업을 바탕으로 사회적경제 선순환 구조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켰다는 평을 받고 있는 곳이다. 이날 방문에는 남 지사를 비롯해 김준현 경기도의원, 김인선 따복공동체위원회 공동위원장, 이점표 사회적경제연대회의 이사장, 여주 부시장, 양평 부군수, 경기도 관련 공무원 등 40여 명이 동행했다.

 남 지사는 일행과 함께 구례 자연드림파크를 방문해 우리밀로 라면과 만두 등을 만드는 과정을 견학하고 영화관과 소규모 공연 무대를 갖춘 비어락하우스 등을 둘러봤다. 특히 신성식 아이쿱생협 경영대표의 브리핑에서 윤리적 소비와 생산을 중시하는 협동조합의 운영방식과 일자리 창출방식에 대해 큰 관심을 나타냈다.

 남 지사는 경기도가 구상하고 있는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의 전형인 구례 자연드림파크를 배우려 경기도 사회적경제, 따복공동체 관계자들이 모두 왔다.”생생한 사회적경제 현장을 직접 보고 들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준 아이쿱생협 관계자들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이어 지자체가 갖고 있는 노동력, 자본, 토지라는 경제 3요소를 토대로 오픈플랫폼을 만들고, 시장경제의 모순을 바로잡으면서 경기도형 사회적경제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도는 사회적경제조직을 중심으로 선순환경제를 창출하는 가칭 따복경제타운조성을 구상 중이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 9월 사회적경제기본조례 전면 개정을 통해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으며, 31개 시군과도 긴밀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박인자 아이쿱소비자활동연합회 회장은 구례 자연드림파크는 23만 명의 조합원들이 다함께 꿈꾸는 삶의 터전을 만들자는 생각으로 십시일반 힘을 모아 조성한 공간.”이라고 소개하고 모범 사회적경제기업으로 주목받아 기쁘다. 경기도에서 같은 형태의 모델이 나온다면 더욱 성공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보고 한 마음으로 돕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례 자연드림파크는 지역주민과 청년을 위한 일자리 창출, 취약한 농촌지역 문화, 복지인프라 확충을 목표로 음료제조업, 물류서비스업 등 15개 협동조합기업이 입주해 430여 명의 고용효과를 냈다. 이 밖에 영화관, 자연드림휴센터, 체험관, 레스토랑 등 편의시설도 함께 운영해 문화, 복지 인프라 확충을 통해 지역민 삶의 질을 높이는 기여하고 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