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 “2층 버스, 편안하고 안락한 출근길 부탁해”

수요조사 및 시승점검 거쳐 각종 편의시설 개선작업 완료

 경기도가 도민들의 출퇴근길 안전과 광역버스 입석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한 2층 광역버스가 1022일 첫 운행을 시작했다.

 첫 운행을 시작한 2층 광역버스는 김포한강신도시에서 서울시청까지 왕복 97km 구간을 이동하는 8601번 노선으로 2층 버스가 정규 광역버스 노선에 투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2층 광역버스의 첫 운행을 축하하기 위해 22일 오전 10시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 김포운수 8601번 차고지에서 홍철호 국회의원, 문현호 김포부시장, 김포시민들과 함께 2층 버스에 직접 탑승했다.

 2층 버스에 탄 남 지사는 일단 시야가 확 틔어서 좋고 생각보다 승차감이 좋다. 도민들이 힘들게 출근하셨는데 편안하고 안락하게 출근하길 기대한다.”고 탑승 소감을 밝혔다. 이어 시승과 비교했을 때의 차이점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그때의 안정감 그대로다. 새로운 정책을 도입한다는 게 쉽지 않지만 앞으로 버스의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남 지사와 함께 탑승한 시민들도 전반적으로 쾌적하고 편안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김포시 설도마을에 사는 김 모 씨는 당산까지 가는 길이다. 관광하는 기분이고 일단 쾌적하고 편안하다. 항상 8601을 타려면 자리가 없었는데 오늘은 앉아서 간다. 앞으로 2층 버스가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포시 장기동에 사는 김 모 씨는 영등포에 가는 길이다. 일단 2층 버스라는 게 너무 새롭고 버스 서비스도 좋은 것 같다. 버스가 증차돼서 더 많이 자주 왔으면 좋겠다. 또한 앞으로도 이용할 생각이 있다.”며 만족해했다.

 운행을 시작한 2층 광역버스는 높이 4.0m, 너비 2.5m, 길이 13.0m이다. 차실높이는 1층이 1.82m, 2층이 1.70m이며, 좌석수는 운전석 1석을 제외하고 113, 259석으로 총 72석이다. 일반 광역버스에 비해 대략 30석 이상이 많다. 대당 가격은 45천만 원이다

 장애인이나 노약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저상버스 형태를 택했으며 차체기울임 장치, 휠체어경사판 등도 장착됐다. 이용객 편의를 위해 좌석마다 USB충전포트, 독서등, 하차벨을 설치했으며 무료 와이파이도 제공된다. 아울러 안전봉, 계단 손잡이, 정차벨 시인성, 장애인 좌석, 운전자 확인용 모니터, 워셔탱크 위치, 사이드미러 위치 등 이용편의와 안전상 보완이 필요했던 부분도 개선했다.

 경기도는 이날 운행을 시작한 8601번 노선을 시작으로 올해 안으로 총 9대를 선박 수송일정을 고려해 실제 운행 노선에 투입할 계획이다도는 그동안 시·군 대상 사업설명회와 도입 희망 수요조사 등을 거쳐 도입노선을 정했다. 이에 따라 1030일에는 8002(대성리~잠실역), 8012(내촌~잠실역) 등 남양주시 2개 노선과 8600(양촌~서울시청) 김포시 1개 노선에도 각각 2 버스 1대씩을 투입해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1110일에는 남양주 노선인 1000-2(호평동~잠실역)1, 김포 노선인 8601(대포리~서울시청)3대를 투입하고, 11월 말경에는 8601번 노선에 1대를 추가로 투입한다. 도는 이와 함께 사전 도로 장애물 점검, 전구간 좌석제 운행, 각종 안전 및 편의 시설 보강, 우수 운전자 선발 및 안전교육 실시 등 분야별 안전대책을 강구하고, 향후 운행상황 모니터링을 통해 2 버스의 확대 도입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운행 금지로 승객 안전문제 등이 논란이 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층 버스 도입을 검토해왔다. 도는 지난해 128일부터 26일까지 수원과 김포, 남양주 등에서 시범운행을 실시했으며, 수요자 만족도 조사결과 승객의 89%, 운전자의 100%2층 버스 도입에 찬성하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도는 94일 부산항을 통해 2층 광역버스가 들어온 후에도 1달여 간 4회에 걸쳐 전문가, 언론인, 버스업체 관계자, 도민 등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운행 및 시승점검을 실시했으며, 각종 편의장치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개선작업을 완료한 후 이날 운행을 시작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